2025년 광고시장전망

- 디지털 생태계 확장,AI기반초개인화마케팅이 광고시장을 견인
- GDP 전망치 : 2024년 2.2 -> 2025년 2.0
- 초개인화 맞춤형 광고 기능과 취향 소비를 통해 정교한 타깃층을 제공
- 디지털 미디어 확장으로, 세로형 광고 CTV 매체 성장
- 이용자 주소비 동영상 변화 : 가로에서 세로로
- 유튜브 OTT 시청 기기 확장: PC-> 모바일 => CTV 광고로 영역 확장 (CTV:인터넷에 연결된 TV)
- AI 자동화 및 초대형 DOOH 시장 증대될 전망
: 광고주는 전환성과를 높이기 위해 세분화된 타깃을 대상으로 광고를 진행
- 규모 있는 DOOH 매체 및 활용 증가
: 디지털 옥외광고, 현재 정부 규제가 완화되고 민간 업체의 협력으로 압도적 규모 O, SNS 공유문화 확산으로
2차 광고 효과O
장소 콘텐츠화, 위치 기반 서비스 확장성 주목
- 최근 AI 기술과 접목, 다양한 이용자 맞춤형 정보 제안이 가능
: 이용자 맞춤형 정보 제안이 가능 , 위치기반서비스 O
: 소비자의 구매 여정 (발견/탐색/추천) 에 따른 이용자 검색 의도에 따른 장소 제공
- 위치기반 상호 작용 강화
: 장소를 콘텐츠화하여 위치정보 기반으로 이용자 모집, 체류시간 확대(카카오 , 지금 여기)
- 이동 전 과정의 기능을 고도화
: 이동 이전 (후기 탐색) - 이동 중 (경로 안내) - 이동 후 (후기작성)
: 고객의 위치 탐색 전단계에 같이 서있는 AI 앱
쇼핑 패러다임의 전환, 엔터테인먼트화되는 커머스
-
온라인 쇼핑의 일상화, 쇼핑 과정에서 엔터테인먼트 요소 강화
: 일상 속 즐거운 경험과 엔터테인먼트의 활동 = 온라인 쇼핑
: ex: 대화/추천/트렌드/커뮤니티 등 앱 내의 고객 만족 강화 카테고리 확대
->소셜 상호 활동 가능 및 메시지앱 & 소셜 네트워크로 소비 앱 패턴 변화
-
발견형 커머스 소비자
: 취향에 맞는 제품을 발견하는 소비 경험
: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제품으로 의욕 상승 , 59%
: 할인과 관련 없는 다른 유형임에도 콘텐츠에 구매 영향을 받음 , 79%
-
콘텐츠 - 광고 - AI을 통해서 이용자 구매 여정 단축
: SNS 경쟁력과 AI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글로벌 플랫폼
: 아마존은 SNS을 적극적으로 제휴, 인앱 결제 환경 구축, 이용자의 즉각적인 구매 경험 제공 기여
: 아마존과 SNS 인앱 제휴) SNS에 제휴 광고 노출 -> 전환없이 결제 가능(틱톡과 핀터레스트에서 시행중)
: 쇼핑 경험 고도화를 위해 AI 도우미 루퍼스 도입한 아마존, 광고 연동 ㅖ정
: 브랜드와 콘텐츠 연결을 위해 수익화 프로그램을 런칭할 예정인 틱톡, 이용자의 브랜드 발견 지원
-> SNS 콘텐츠로부터 발화되는 소비 극대화 유도
-> 구매 여정 단축 ! , AI 고도화를 통해서 발견 - 구매 형태로 축소
-
유뷰트 메타, 한국 특화 경쟁력을 활용해서 쇼핑 채널 영향력 강화
: 유튜브) 한국 크리에이터 콘텐츠 영향력 활용 ,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및
유튜브 쇼핑 제휴 쿠팡 앱 연동 프로그램 운영중
: 인앱 구매 형태 및 개인 취향에 맞춘 구매패턴 & 크리에이터 역시 구매연결과 쇼핑 콘텐츠로 수익 창출 가능
& 브랜드는 크리에이터와 파트너십 광고 집행으로 인지도 및 구매율 강화
-> 구매 순환 구조 형성
: 메타) 한국의 유명 리테일사 데이터,메타 솔루션 연결한 협력광고 고도화
: 타깃팅 고도화를 통해서 고객의 정보와 상품 데이터를 제공하는 리테일사 -> 솔루션 제공하는 메타
-> 타깃팅 광고 실행하는 브랜드-> 타깃화된 광고 노출로 연결 리테일사에서 즉시 구매하는 이용자
- 네이버와 카카오, AI기반 초개인화 쇼핑 서비스로 개편
: 네이버)
- 소비자 판매자 관계 강화 목적 네이버플러스스토어 별도 앱 출시, AI 브리핑과 개인화된 쇼핑 제공
-> 혜택부터 트렌드 정보까지 초개인화 쇼핑 경험 제공
: 카카오)
- 선물하기 전체 거래액중 9%는 AI 쇼핑 서비스 통해 발생
- 참여형 커머스 공간 쇼핑탭 개편 예정
- 온라인 퍼스널 쇼퍼 , AI 커머스 MD 출시
-> 커뮤니케이션기반의 발견형 커머스 공간 제공
AI 검색 및 AI 에이전트 시장 부상(생성형 AI 기술 진보)
-
기존) 키워드 중심의 검색 패러다임, 이용 경험의 69%는 단순 정보검색
-
이후) 생성형 AI을 활용한 AI 기반 실시간 검색으로, 검색 증강 생성 (RAG)을 활용해 서비스 발전
-
생성형 AI는 실시간 검색 기능을 통해서 검색 서비스를 혁신하고 본격적으로 검색 시장 진출
: AI 검색 광고를 도입하거나 한국어 특화 AI 검색 모델을 개발할 예정, 실시간 검색 도입
-> 기존 생성형 AI 서비스는 실시간 검색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신규 이용자 확보 및 수익화 모델에 적용
-
글로벌 AI 에이전트
(AI 에이전트: 특정 작업이나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AI 시스템)
-
애플)
: 애플 생태계 이용자 경험 향상을 목표로 이미지 분석 생성, 음성 인식 및 글쓰기 도구 제공, Siri와 생성형 AI 통합
-
국내형 AI 에이전트
-
카카오)
: 개인의 맥락과 감정을 고려한 AI 서비스 지향
: 그룹 대화 특징에 맞는 답변 제안
: 대화 속 주요 일정 및 준비물 요약,리마인드
-
통신 AI 에이전트)
: 보이스피싱탐지기술 개발 , 통화 요약 기능, 맞춤형 AI 에이전트 개발, 서비스 범용성 확대에 집중
요약
- 초개인화 광고 도약
- 디지털 생태계확장으로 초개인화 마케팅이 광고시장을 견인
- 이용자 미디어 시청 형태 변화에 따른 세로형 광고, CTV 매체 성장
- DOOH 규모감 확대
- 소비자의 구매 여정 & 진행 여정 전단계에 함께 있는 앱
(위치: 위치 탐색- 위치제공- 도착 )
추천시스템으로 주변 위치 탐색부터 후기 작성을 통한 도착 이후의 활동까지 고객의
생활 전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앱
-> 체류시간 확대 및 이용자 확대, 이는 AI 기능 고도화로 가능한 일
- 이용자 구매 여정 단축
- 제휴를 통해서 고객은 현재 '탐색- 구매'로 , 제품을 보자마자 바로 구매하는 과정을 지님
- 원인, 인앱 결제 가능, SNS와 리테일사의 제휴를 통해 가능한 케이스(틱톡과 아마존)
- 유튜브 & 쿠팡 역시 제휴 프로그램 진행으로 제품 탐색을 통해 구매 전환 가능하도록 숏츠 및 영상 제작
-> SNS 콘텐츠로부터 발화되는 소비 극대화 유도
- 생성형 AI 을 통한 수익모델 창출,고객 편의개선
- 개인의 맥락과 감정을 고려한 AI 서비스를 진행한 국내 AI 에이전트(카카오)
- 기존 키워드 중심의 검색 패러다임 -> AI 기반 실시간 검색으로 RAG 활용해 서비스 발전
- 생성형 AI을 활용해 수익 모델 고도화 예정
적용할점
- 생성형 AI 도입을 통해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그게 어떤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생성형 AI을 통해 소비와 대화의 주체성을 잃는다고 생각)
- 중소기업은 SNS와 인앱결제가 불가능할 수도 있는데, 현재 빅기업의 인앱결제 및 제휴로
구매 독점권을 다잡은 상황 속에서 중소기업이 어떤 개선점을 통해 고객 구매로 전환시킬 전략이
필요한지 알고 싶습니다.
출처
https://www.nasmedia.co.kr/%EC%A0%95%EA%B8%B0%EB%B3%B4%EA%B3%A0%EC%84%9C/2025-%EB%94%94%EC%A7%80%ED%84%B8-%EB%AF%B8%EB%94%94%EC%96%B4-%EB%A7%88%EC%BC%80%ED%8C%85-%EC%A0%84%EB%A7%9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