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조미디어 Insight M 자료실로 바라보는 2024년 11월 트렌드🎉

아현·2024년 11월 19일
0

산업 분석

목록 보기
16/35

https://www.mezzomedia.co.kr/insight_m

1.마켓이슈

(1) 편의점업계 전략,뷰티제품 출시

  • 기존 제품 대비 양 줄이고 가격 내린 소용량 초저가 뷰티 제품 출시

  • 여행용 키드 위주 화장품 -> 전용 라인 론칭하며,화장품업계 제휴 -> 기초부터 색조까지 제품 라인업 확대

  • 최신 드렌드 반영 뷰티 제품,새로운 수익원 될 것 기대

  • 엔젤루카
    : 용량 1/3 줄임
    : 3천원 저렴 가격 ,소비자 공략
    : 팩,세럼, 수분크림 출시

  • 메디힐,아크네스
    : 소용량 저가 전략 상품
    : 최근 남성용 제품 카테고리 확대

  • 세븐일레븐
    : 서울 동대문 상권 오픈(뷰티제품 브랜드 진열,전면에 내세워 최초오픈)

[추가 조사]
1.현재 기초화장품 상품군 중심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 진행중이다.
::GS25는 스킨케어 세럼 7천원,토너크림 5천원으로 1만원 이하의 가격을 내놓았다.
2.편의점 화장품 매출은 3사 모두 성장세를 보이며, 올해 기준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은 70%이다.
3.다이소와 경쟁 구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 화장품출시를 위해 세밀하게 시장조사한 브랜드라고 한다.

이로써 현재 식품군 라인업 외 비식품군 카테고리에서 제품군을 출시하며
전문브랜드와 협업하며 뷰티제품을 확장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출처:https://blog.naver.com/oh_heewoo/223614752152

(2) 식품업계, 케어푸드 시니어 타겟 공략

  • 현재 고령자 인구비중 20%이상인 초고령화 사회

  • 차세대 먹거리는 케어푸드와 고령치화식단

  • 시니어 타겟층, 개인별 건강 상태와 취향고려한 맞춤형 식품 개발 진행 중

  • 특히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확대로, 케어푸드 제품 매출 신장 예상

  • 현대그린푸드
    : 그리팅웰스(케어푸드식단)
    : 균형잡힌 한끼 식사
    : 정기배송 형태, 완제품 전달

  • CJ 프레시웨이
    : 헬씨누리, 시니어 특화 케어푸드 브랜드
    : 소담한상 판매, 맞춤형 건강식 세트

[추가조사]
1.과거 케어푸드는 식품 섭취나 소화에 어려움을 겪는 특별식이라, 환자 회복을 위해 공급되는 식사로
인식되었지만 현재 고령화 사회 &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따라 일반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2.블루오션이다. 고령인구 증가와 간편 섭취 가능 친화식 개발의 필요성으로, 많은 기업들은 신제품 연구에
자본을 투자한다.
3.케어푸드지만 2030 섭취도 늘어나고 있다.
영양가 갖춘 식단과 간편식으로 따로 해먹을 필요가 없어 한끼대용으로 좋아, 건강 추구 젊은 사람들에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출처: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68984

(3)전통문화에 빠진 MZ 세대, 힙 트래디션 트렌드

  • 최근 MZ 세대 중심으로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소비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 SNS 공유의 활발함과 공연,굿즈,콘텐츠로 소비되며 고리타분하지 않은 색다른 문화코드로
    자리잡았다.

  • 뮷즈
    :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박물관 상품 브랜드
    : 박물관에 소장중인 문화유산을 모티브로 하여 굿즈 제작을 판매한다.
    : 2030세대가 매출 60%을 차지한다.

  • 경복궁 별빛야행
    : 전통국악공연,궁중음식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MZ 사이에서 예약 경쟁이 치열
    : 궁케팅 신조어 형성

[추가조사]
1.공간이 아니더라도 식품이나 패션,식당에서 호감을 느끼며, 이중 1등은 '복고풍의 옛날노래'이다.
2. 이유로는 72.9%로 답한 다양한 분야에서 콘셉이 등장하는 것이 긍정적이라는 답변으로,
과거시절 안정감과 따뜻함을 찾고자 하는 니즈에서 비롯된다
3. 드라마 정년이 역시,여성국극단을 소재로 판소리 드라마라는 점에서 정년이 신드롬으로
한국전통음악 판소리가 다시 뜨고 있다.

출처: https://www.nongmin.com/article/20240926500195

2.뉴미디어 이슈

광고하면 좋은 어플리케이션!

(1) 라이프케어

  • LG 라이프케어 복지몰
  • 오픈마켓 대비 높은 인당 객단가와 광고 ROAS, 구매전환율
  • 상단메뉴광고GNB와 배너광고,상품광고,앱푸시 마케팅이 있으며,회원수 100만으로 미디어파워 존재

(2) 히로인스

  • 3050여성 일상 공유 소셜미디어 플랫폼
  • 가정의 경제권을 진 엄마가 유저 -> 건기식,금융,보험 캠페인 효과성 O
  • 가로형 배너광고,클릭형 광고,액션형광고,전면팝업광고
  • 특히 클릭형에서는 참여 가능 이벤트 목록에 노출시키며, 자연스럽게 고객에게 상품 노출하면서 참여 유도

(3) 문토

  • 온오프라인 관심사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 가입자 60% 이상이 취향 경험에 적극적
  • 유저는 25-34세, 경제권을 지닌 사회초년생
  • 앱메인배너,브랜드기획소셜링,브랜드챌린지
  • 문토 인증 형식과 개인 SNS 인증으로 '인증활동 요구'및 '서비스경험'에 기반하여
    바이럴 형식으로 광고하는 방식

[추가조사]

챌린저스

1.160만 건강고관여 유저 존재
2.주3회이상챌린지에 돈을 거록 인증하며,달성하는 국내습관형성플랫폼
3.SNS 오프라인 바이럴 챌린지,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할 참가자 모집, 인증하며 SNS 콘텐츠 확산
: 자연스러운 바이럴 효과와 서비스 이용 이후 sns에 인증샷으로 올리는 형식 , 자기계발과 함께 인증,
: 긍정적인 네이티브 효과 (일상속 제품 존재 ,자연스럽게 노출 + 해당 제품의 핵심 가치를 전달)

출처:https://biz-challengers.com/ads-li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