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50%는 매주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
: 연령별, 40대 쇼핑 빈도가 가장 높음
: 남성보다는 여성이 활발하게 온라인 쇼핑 이용
: 40대의 경우, 주 1회 이상 구매하는 고객이 60% & 20대는 38%
월평균 쇼핑 지출 금액은 27만원
: 40대의 쇼핑 지출 금액은 34만원
: 20대의 쇼핑 지출 금액는 21만원
(평균 27만원)
: 남성은 23만원,여성은 30만원으로 성별에 따른 온라인 쇼핑 비용 차이 O
온라인 쇼핑, 모바일 디바이스 선호
: 연령이 낮을 수록 특징이 두드러지며, 모바일에 최적화된 쇼핑 플랫폼과 결제 시스템 원인
: 온라인 이용 디바이스 비중 10대 (82%) > 20대 (76%) > 50대 (75%)
가장 많이 이용하는 쇼핑몰은 오픈마켓
: 제품 정보 검색부터 구매까지의 과정, 원스톱
: 1위 빠른배송,2위 저렴한 가격, 3위 다양한 상품
: 그 다음 쇼핑몰은 포털사이트(네이버,카카오) , 원인으로는 많은 할인과 이벤트가 상위권
연령별 주 이용 온라인 쇼핑몰
: 10,20,40,50대는 오픈마켓에서 주로 쇼핑
: 30대는 포털사이트에서 쇼핑, 69% 차지
온라인에서 자주 구매하는 품목은 '생필품'
: 생필품>패션잡화>신선식품
여성, 뷰티 화장품 강세
남성, 음료 및 기호식품에서 강세
(건강기능식품,가공식품,도서문화 역시 남성이 더 높음)
일반제품은 저렴한 가격을 선호하며, 신선 식품은 빠른 배송을 중시
: 일반식품의 경우 , 저렴한 가격>빠른 배송 = 할인 /이벤트 > 믿을 수 있는 품질
: 신선식품의 경우, 빠른배송> 저렴한 가격>믿을 수 있는 품질
가장 많이 이용해본 서비스는 배달과 택시호출
: 신선식품을 구매할 때, 여성의 이용경험률이 더 높았음
: 배달> 택시 호출 > 새벽 배송 > 숙박 예약 > 빠른 배송
가장 많이 배달한 앱 : 배달의 민족
: 배달의 민족 > 쿠팡이츠> 요기요 > 카톡주문
배달 앱 유저 : 20대 (49%) , 50대 ( 37%)
: 20대와 40대가 가장 많으며, 50% 이상 주 1회 이상 주문한다고 응답
월평균 배달 지출 금액
20대, 50대는 12만원 & 30대 14만원 & 40대 17만원
배달 앱 멤버십 서비스
: 조사 참여자의 55%, 배달 앱 멤버십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
: 높은 서비스는 쿠팡이츠의 와우멤버십
: 10대는 배민클럽 (16%) > 와우멤버십 (14%)
-> 10대는 쿠팡와우유저가 아니라 멤버십 이용률 저조한 것으로 예상
-> 실제로 소비 주권자가 10대가 아니라, 쿠팡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유저만 와우를 가입한다는 점에서
쿠팡이츠 가입률이 적을 듯
-> 반면 10대 + 배민클럽 유저? 배달 앱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 해당 (why? 타연령층의 와우멤버십은
기존 와우회원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멤버십이 된거라 충성고객이 아닐 수도 있음)
고객사를 배달 플랫폼으로 두고 특정 연령층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타당성을 도출하여 제안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다.
🎈고객사: 쿠팡이츠
🎈진행 목적:
쿠팡이츠는 현재 배달 독점을 지닌 배달의 민족으로, 2인자라는 타이틀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함
경쟁사 배민이 선점하고 있지 못한 고객층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해야함
🎈타겟층(잠재고객): 5060중장년층
why?
1. 해당 연령층은 배달의 민족 앱 사용시, 앱의 간소화되지 않은 결제 시스템과 진행 방식의 번거로움에 피로감을 느낌
2. 5060연령층은 디지털활용능력이 낮은 연령대
3. 앱이 간소화된다면 앱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하며, 사용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논문 연구 결과O
🎈가설 설정
'앱 간소화 서비스를 제안하면, 5060연령층의 배달 앱 사용 빈도가 높아지며 월평균배달금액이 높아질 것이다'
: 앱 간소화 수행 -> 디지털 활용 능력 강화 -> 배달 앱 사용의 편리성 -> 만족도 상승 및 사용 빈도 증가-> 배달 금액 증가
🕳5060의 배달 빈도 수가 타 연령층보다 낮다는 가정과 디지털 사용 능력이 타 연령층보다 낮다는 가정이 있었다.
그러나 해당 리포트에서는 모바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확인
but
배달 빈도수와 월평균배달금액은 낮은편이라 배달 플랫폼 자체에 피로도를 느끼는 5060대가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
- 배달 앱 사용
: 50대의 주 1회 사용 빈도가 낮으며, 월 평균 지출 금액 역시 12만원으로 낮은 편,
배달 앱의 사용량 확대 잠재고객 O
(40대는 주 1회 사용빈도 높음)
: 10대 중 배민클럽을 쓰는 유저는 월 평균 배달 금액이 높은 유저이며, 충성고객일 확률이 높음
2.연령별 및 성별 기준 쇼핑 트렌드
: 남성은 간편식과 도서문화, 식품에서 강세를 보임
: 여성은 뷰티나 패션쪽에 월 지출 금액이 남성 대비 높음
: 주 1회 이상 구매하는 고객이 60% ( 40대) , 가정 경제권 지닌 연령대로 모바일 의존도 강한편
3.핸드폰 사용 및 모바일 구매
: 50대의 모바일 통한 온라인 구매 비중은 해당 연령층 내 75%로, 디바이스 사용이
높은 편(30대보다 50대가 많음)
(디지털 사회의 취약층이 아니라는 점 유추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