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조미디어의 2024년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리포트 (쇼핑 및 소비편)

아현·2024년 11월 20일
0

산업 분석

목록 보기
17/35

요약

  • 소비자 50%는 매주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
    : 연령별, 40대 쇼핑 빈도가 가장 높음
    : 남성보다는 여성이 활발하게 온라인 쇼핑 이용
    : 40대의 경우, 주 1회 이상 구매하는 고객이 60% & 20대는 38%

  • 월평균 쇼핑 지출 금액은 27만원
    : 40대의 쇼핑 지출 금액은 34만원
    : 20대의 쇼핑 지출 금액는 21만원
    (평균 27만원)
    : 남성은 23만원,여성은 30만원으로 성별에 따른 온라인 쇼핑 비용 차이 O

  • 온라인 쇼핑, 모바일 디바이스 선호
    : 연령이 낮을 수록 특징이 두드러지며, 모바일에 최적화된 쇼핑 플랫폼과 결제 시스템 원인
    : 온라인 이용 디바이스 비중 10대 (82%) > 20대 (76%) > 50대 (75%)

  • 가장 많이 이용하는 쇼핑몰은 오픈마켓
    : 제품 정보 검색부터 구매까지의 과정, 원스톱
    : 1위 빠른배송,2위 저렴한 가격, 3위 다양한 상품
    : 그 다음 쇼핑몰은 포털사이트(네이버,카카오) , 원인으로는 많은 할인과 이벤트가 상위권

  • 연령별 주 이용 온라인 쇼핑몰
    : 10,20,40,50대는 오픈마켓에서 주로 쇼핑
    : 30대는 포털사이트에서 쇼핑, 69% 차지

  • 온라인에서 자주 구매하는 품목은 '생필품'
    : 생필품>패션잡화>신선식품
    여성, 뷰티 화장품 강세
    남성, 음료 및 기호식품에서 강세
    (건강기능식품,가공식품,도서문화 역시 남성이 더 높음)

  • 일반제품은 저렴한 가격을 선호하며, 신선 식품은 빠른 배송을 중시
    : 일반식품의 경우 , 저렴한 가격>빠른 배송 = 할인 /이벤트 > 믿을 수 있는 품질
    : 신선식품의 경우, 빠른배송> 저렴한 가격>믿을 수 있는 품질

  • 가장 많이 이용해본 서비스는 배달과 택시호출
    : 신선식품을 구매할 때, 여성의 이용경험률이 더 높았음
    : 배달> 택시 호출 > 새벽 배송 > 숙박 예약 > 빠른 배송

  • 가장 많이 배달한 앱 : 배달의 민족
    : 배달의 민족 > 쿠팡이츠> 요기요 > 카톡주문

  • 배달 앱 유저 : 20대 (49%) , 50대 ( 37%)
    : 20대와 40대가 가장 많으며, 50% 이상 주 1회 이상 주문한다고 응답

  • 월평균 배달 지출 금액
    20대, 50대는 12만원 & 30대 14만원 & 40대 17만원

  • 배달 앱 멤버십 서비스
    : 조사 참여자의 55%, 배달 앱 멤버십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
    : 높은 서비스는 쿠팡이츠의 와우멤버십
    : 10대는 배민클럽 (16%) > 와우멤버십 (14%)

-> 10대는 쿠팡와우유저가 아니라 멤버십 이용률 저조한 것으로 예상
-> 실제로 소비 주권자가 10대가 아니라, 쿠팡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유저만 와우를 가입한다는 점에서
쿠팡이츠 가입률이 적을 듯
-> 반면 10대 + 배민클럽 유저? 배달 앱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 해당 (why? 타연령층의 와우멤버십은
기존 와우회원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멤버십이 된거라 충성고객이 아닐 수도 있음)

  • 온라인 쇼핑시 가장 선호하는 건, 간편결제
    : 네이버페이>카드 및 금융사 간편결제 > 카카오페이 > 카드정보직접입력 카드 결제
  • 온라인 쇼핑시 리뷰 참고 정도, 78%
    : 구매시 주요기능,디테일이미지,스펙,사용 및 착용 사진 확인

올해 에이블스쿨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당시,

고객사를 배달 플랫폼으로 두고 특정 연령층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타당성을 도출하여 제안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다.

🎈고객사: 쿠팡이츠

🎈진행 목적:
쿠팡이츠는 현재 배달 독점을 지닌 배달의 민족으로, 2인자라는 타이틀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함
경쟁사 배민이 선점하고 있지 못한 고객층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해야함

🎈타겟층(잠재고객): 5060중장년층
why?
1. 해당 연령층은 배달의 민족 앱 사용시, 앱의 간소화되지 않은 결제 시스템과 진행 방식의 번거로움에 피로감을 느낌
2. 5060연령층은 디지털활용능력이 낮은 연령대
3. 앱이 간소화된다면 앱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하며, 사용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논문 연구 결과O

🎈가설 설정
'앱 간소화 서비스를 제안하면, 5060연령층의 배달 앱 사용 빈도가 높아지며 월평균배달금액이 높아질 것이다'
: 앱 간소화 수행 -> 디지털 활용 능력 강화 -> 배달 앱 사용의 편리성 -> 만족도 상승 및 사용 빈도 증가-> 배달 금액 증가

🕳5060의 배달 빈도 수가 타 연령층보다 낮다는 가정과 디지털 사용 능력이 타 연령층보다 낮다는 가정이 있었다.
그러나 해당 리포트에서는 모바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확인
but
배달 빈도수와 월평균배달금액은 낮은편이라 배달 플랫폼 자체에 피로도를 느끼는 5060대가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

인사이트

  1. 배달 앱 사용
    : 50대의 주 1회 사용 빈도가 낮으며, 월 평균 지출 금액 역시 12만원으로 낮은 편,
    배달 앱의 사용량 확대 잠재고객 O
    (40대는 주 1회 사용빈도 높음)
    : 10대 중 배민클럽을 쓰는 유저는 월 평균 배달 금액이 높은 유저이며, 충성고객일 확률이 높음

2.연령별 및 성별 기준 쇼핑 트렌드
: 남성은 간편식과 도서문화, 식품에서 강세를 보임
: 여성은 뷰티나 패션쪽에 월 지출 금액이 남성 대비 높음
: 주 1회 이상 구매하는 고객이 60% ( 40대) , 가정 경제권 지닌 연령대로 모바일 의존도 강한편

3.핸드폰 사용 및 모바일 구매
: 50대의 모바일 통한 온라인 구매 비중은 해당 연령층 내 75%로, 디바이스 사용이
높은 편(30대보다 50대가 많음)
(디지털 사회의 취약층이 아니라는 점 유추 가능)

출처

https://www.mezzomedia.co.kr/insight_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