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I Paper Study : salt and paper

노수진·2024년 12월 26일
0

HCI

목록 보기
1/7

나는 HCI 연구실 석사를 앞두고 있다.
처음 수업을 들을 때 사용자의 경험을 다룬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정신을 차리니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었다.

정신을 차려보니...

HCI 분야는 일반 컴퓨터분야와 달리, 연구 방식이나 실험 설계의 접근법이 다른 것 같았다. 본격적으로 석사를 들어가기 전에 기초를 다져야겠다는 생각에 논문 스터디를 하고자 한다.

+_이왕하는 거 모각코도 하고자 한다.

🧂_📃 스터디 이름을 정해보자.

무엇이든 처음 시작할 때 이름을 잘 정하면 애정을 갖고 꾸준히 이어나갈 수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나만의 논문 스터디 이름을 고민해봤다.

Salt_and_paper

히히. 말장난을 좋아해서 "Salt and Pepper" 라는 표현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 음식의 맛을 더하는 것처럼 논문 공부로 지식과 아이디어에 깊이를 더한다는 의미다.

내 연구야 오이시쿠나레..

🏃‍♂️‍➡️ 스터디에 임하기 전 목표

  1. 일주일에 최소 논문 두 편씩 읽기(basic, new)
  2. 꾸준히 블로깅하기
  3. 최대한 원문으로, 밑줄 쳐가면서 읽기

1번은 한번 읽을 때 기초 논문과 최신 논문을 묶어서 읽는 방식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앞으로의 연구 설계에 도움이 될 것 같다.
3번은 존경하는 선배의 꿀팁인데 논문을 읽을 때 여러 관점으로 표시해가면서 읽어보라고 했다.

예를 들어:

  • 빨간색 - 문제점, 의문을 가지는 거
  • 노란색 - 중요한 거
  • 파란색 - 활용할 수 있는 거.

등이 있다. 간단하게 위의 룰을 따라서 논문 리뷰를 해보겠다.

👨‍🏫 이 논문은 읽어야 한다.

CHI의 논문을 위주로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도 교수님께서는 논문 추천 리스트를 주셨다. 이중에서 흥미로운거 먼저 읽어봐야겠다. 순서는 무관하다.

  1. [IJHCI] StepsBooster-S: A Culturally Tailored Step-Based Persuasive Application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2. [JMIR Formative Research] Acceptance and Use of eHealth in Support and Psychological Therap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wo Cross-Sectional Studi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3. [ACM GAMES Research and Practice] “Jumping Out from the Pressure of Work and into the Game”: Curating Immersive Digital Game Experiences for Post-Work Recovery
  4. [CHI24] DeepStress: Supporting Stressful Context Sensemaking in Personal Informatics Systems Using a Quasi-experimenta
  5. [JMIR Research Protocols] Just-In-Time Adaptive Intervention to Sit Less and Move More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Protocol for a Microrandomized Trial
  6. [CHI24] Exploring Context-Aware Mental Health Self-Tracking Using Multimodal Smart Speakers in Home Environments

파이팅!
시작이 반이다.
하지만 아직 시작을 안했다.

이제 시작해보자!

profile
https://github.com/nub8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