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기초의 기초의 기초부터 준비해야 했음을 ··🧘🏻♀️
이번 강의는 개념 a를 알기 위해 a-1을 공부하고, a-1을 알기 위해 a-1-1을 공부하는 시간의 연속이었다. 아직까지는 많은 개념들이 머리에 둥둥 떠다니는 상태다. 블로그에 정리하고 여러 번 다시 읽어보며 재정립해야지. #가보자고
🔦 본 포스트는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강의를 기반으로 함을 알립니다.
End Point
(=단말) 라고 부른다. 네트워크에서 호스트가 존재하는 역할, 기능에 따라 Peer / Server / Client로 나뉜다.Switch
)Router, F/W, IPS는 switch이므로 결과적으로 모두 switching을 한다. 다만, switching의 목적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switch | 목적 |
---|---|
Router | 경로 선정 switch |
IPS | 보안 switch |
어떤 주소를 다루느냐에 따라 L2, L3, L4, L7 스위치로 구분 가능하다.
L2 | L3 | L4 | L7 |
---|---|---|---|
MAC 주소 | IP | Port | HTTP |
참고
계층별 대표적인 프로토콜
L1, L2 | L3 | L4 |
---|---|---|
Ethernet (유선LAN) 892.11 (무선LAN) | IP | TCP |
네트워크 회선과 서버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 소규모 통신을 하기 위한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개선된 장비이다. 허브의 경우, 여러 대의 네트워크가 있을 때 전송대역을 나눠 쓴다. 반면 스위치는 동일한 속도로 분배하기 때문에 속도 저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switch |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 |
---|---|
![]() | ![]() |
노드와 노드 사이의 링크를 임시로 잠시 연결해주는 것. 연결되어야 하는 노드가 여러 개일 경우,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이들을 연결해주는 링크 역시 여러 개가 필요하다. 그러나 데이터를 보낼 때는 하나의 링크만 사용하기 때문에 노드 간에 링크를 일일히 연결하는 방식은 비효율적이다.
이 때 링크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간에 설치하는 연결장치가 바로 switch이다. switch에 모든 링크를 연결해두고,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마다 해당 노드와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switch 동작 방식을 잘 설명해주신 분의 글을 발견해 링크를 첨부한다.
*패킷 :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조각
https://youtu.be/kGst-VftN1w
https://jjeongil.tistory.com/1259
https://puzzle-puzzle.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9A%A9%EC%96%B4-%EB%9D%BC%EC%9A%B0%ED%84%B0%EB%9E%80-Router
https://skstp35.tistory.com/193
https://siahn95.tistory.com/entry/Network%EC%9E%A5%EB%B9%84-L1-L2-L3-L4-L5-L6-L7-%EC%8A%A4%EC%9C%84%EC%B9%98%EB%9E%80
https://siran.tistory.com/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