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프레미스(On-Premises) vs 클라우드(Cloud): 차이점 비교하기

Ohback·2025년 8월 5일
0

Things To Wonder About

목록 보기
5/13

온프레미스(On-premises)는 기업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 장비 등을 자체 데이터센터나 사내 서버실에 직접 구축·운영하는 방식이고, 클라우드(Cloud)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의 IT 자원을 빌려 쓰는 방식이다.



온프레미스(On-Premises)의 특징은?

온프레미스 환경은 사내망 중심 구조와 높은 커스터마이즈 자유도가 강점이다. 특수 하드웨어(GPU 클러스터, HSM, 특정 네트워크 장비 등)나 레거시 시스템 연동이 쉬우며,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사내에 머무르므로 데이터 거버넌스와 물리 보안을 세밀하게 통제할 수 있다. 반면 자원 확장에는 장비 조달·설치 시간이 필요하고, 전력·냉각·공간 등 시설 용량을 선제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출처: https://www.hpe.com

온프레미스(On-Premises)의 장점 & 단점

  • 장점
    • 데이터와 시스템 완전 통제 가능
    • 맞춤형 보안 환경 구성 가능
    • 인터넷 연결 없이도 내부망에서 서비스 가능
  • 단점
    • 초기 구축 비용이 매우 높음
    •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에 인력·시간 소요
    • 확장성 제한

오프프레미스(Off-Premises)도 있을까?

물론! 오프프레미스는 물리적 인프라가 회사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관리하는 방식 → 주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센터 호스팅, 코로케이션(Colocation) 등이 해당한다.
다만 IT업계에서는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가 더 대중적인 표현이다.

오프프레미스(Off-Premises) 예시:

  • AWS, Azure, GCP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 KT IDC(Internet Data Center)와 같은 호스팅 센터
  • 코로케이션 서비스(서버는 소유하지만, 외부 시설에 설치)



클라우드(Cloud)의 특징은?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은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으로 서버나 저장공간을 직접 마련하지 않아도, 인터넷만 있으면 클릭 몇 번으로 바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량이 늘어나면 자동으로 서버를 확장해주고, 줄어들면 자원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확장성과 유연성이 매우 뛰어나다. 기업 입장에서는 초기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드는 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내므로 비용 효율성도 확보된다.

출처: https://youthincmag.com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클라우드에는 크게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있는데 우리가 주로 "클라우드"라고 부르는 것은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같은 대형 클라우드 업체가 운영하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말한다. 여러 기업이 같은 인프라를 공유하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고, 서버나 스토리지를 빠르게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보안 측면에서는 데이터가 다른 사용자들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존재하기 때문에 규제가 엄격한 산업에는 한계가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특정 기업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전용 클라우드로 기업 내부 데이터센터나 전용 인프라 위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보안성과 통제력이 높다. 특히 금융기관, 정부기관, 의료 분야처럼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곳에서 선호한다. 다만, 물리 장비와 운영 인력을 직접 갖추어야 하므로 구축과 유지 비용이 높고, 확장성이 퍼블릭 클라우드에 비해 제한적일 수 있다.



온프레미스(On-Premises) vs 클라우드(Public Cloud) 비교해보기

1.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특징 비교

구분On-PremisesPublic Cloud
설치 위치기업 내부 데이터센터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센터
비용 구조초기 장비 구매(CAPEX)사용량 기반 과금(OPEX)
확장성느림, 장비 추가 필요빠르고 유연
관리 주체기업 자체 IT팀클라우드 제공 업체
보안직접 통제 가능제공 업체 신뢰 필요
접근성내부 네트워크 중심인터넷 어디서나 가능

2. 사용 예시

  • 온프레미스: 금융권(보안 규제가 엄격한 곳), 군사·국방 기관, 특정 연구기관
  • 클라우드: 스타트업, 전자상거래, 글로벌 웹 서비스, AI/빅데이터 분석

3. 비교 결론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는 각각의 강점이 있어 기업의 상황과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 보안/규제 중요 → 온프레미스
  • 확장성/비용 효율성 중요 → 클라우드

위의 자료처럼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는 뚜렷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특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 둘을 “보완 관계”로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라는 전략이 등장하였다.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장점을 혼합한 전략,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란 무엇인가요?, 출처: https://www.alibabacloud.com

"Citrix commissioned a poll of 350 business and IT leaders in the US, and found 94% had moved some of their workloads back from the cloud to on-premises facilities. The top reasons for such “cloud repatriations,” according to respondents, include unexpected security issues (41%), high project expectations (29%), and failure to meet or set expectations (23%)"

Nearly all business and IT leaders surveyed have shifted some cloud workloads back to on-prem, 출처: https://www.itbrew.com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란 퍼블릭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조합해서 운영하는 전략을 말한다.

기업의 핵심 데이터(보안·규제 민감)는 온프레미스/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두고,
트래픽이 갑자기 몰리거나 일시적인 작업에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 이전 후 운영 비용, 보안, 규제준수 등의 이유로 일부 워크로드를 온프레미스나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다시 전환하는 추세다. 이는 단순히 클라우드에서 온프레미스로 돌아가는 회귀가 아니라, 하이브리드 전략으로의 전환이라 볼 수 있다.



결론을 요약하면..

  • 온프레미스(On-Premises)는 “내 집에서 다 관리”
  •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는 “호텔이나 셰어하우스처럼 빌려 쓰기”
  •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는 “내 전용 호텔처럼 빌려 쓰기"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는 “내 집 + 호텔을 상황에 맞게 같이 사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란?, 출처:https://www.netapp.com
온프레미스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개념과 차이점, 출처:https://clunix.com
클라우드 시대에서 온프레미스로 회귀하는 이유, 출처: https://zdnet.co.kr
IBM, ‘파워11’ 서버 공개…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유연성 제공, 출처: http://www.itdaily.kr

profile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