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직 위클리 회고

윤뿔소·2024년 6월 28일
0

Naver boostcamp

목록 보기
2/6
post-thumbnail

한 주간 긍정적으로 성취하거나 새롭게 시도해 본 것

  1. 의사코드 작성해봤습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 전에 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도전해봤습니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 문제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구현 과정 중 실수가 조금 줄어들었습니다.
  2. 중단점 및 log를 많이 찍어봐서 과정을 많이 관찰해봤습니다.
    이를 통해 결과값을 예측해보거나, 과정을 생각해보면서 실수를 잘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3. 코드 리팩토링입니다.
    항상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생각하기 위해 일부러라도 트집잡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래도 수료생님 접근법이랑 비교했을 때 아쉬웠었습니다. ㅠ
  4. 사용자 입력 처리 방식을 학습했습니다.
    구름 IDE를 쓰면서 필요하다고 느껴 readline 모듈을 사용해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방법을 여러 번 연습했습니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 테스트에서 필요 변수라든지 막힘 없이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Class형을 많이 써봤었습니다.
    메모리를 적게 쓴다는 장점이 있어 JS 알고리즘 테스트에 많이 사용하는 걸 보고 저도 시도해봤습니다. 아직은 부족하긴 하지만 그래도 장점을 볼 수 있었고, 어느 상황에서 쓰면 더 좋은지 알게 됐습니다.

또 테스트 케이스 원칙에 의거해 작성해보기 등등 여러가지 시도를 많이 해봤습니다.

한 주간 혼란스럽거나 어려웠던 것

이웃 발판 유효성 검사할 때 였습니다.
사다리 게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랜덤과 유효성 검사를 할 때 그동안 x, y축으로 테스트를 보다가 이번엔 행과 열로 했는데 개념을 반대로 이해하고 있어서 깨닫는데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살짝 부끄러웠지만 이제 제대로 알고 있으니 괜찮습니다!

일주일 전으로 돌아간다면

더 많은 테스트 케이스 작성해봐서 알고리즘 테스트나 현업에서 개발할 때,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테스트 케이스를 아주 적절히 작성해 코드의 안정성을 높일겁니다. 특히, 예외 상황에 대한 테스트를 더 철저히 했을 것같습니다.

또, 의사코드를 작성하고 원칙에 의거해 작성하면서 그 디테일 강화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의사코드를 더 자세히 작성해 구현 과정에서 오류나 시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 구현 과정이 더 매끄럽게 진행 했을 겁니다.


이번 한 주 동안 많이 배웠고, 많은 성취감을 느꼈습니다. 비록 어려움도 있고 현타가 많이 왔지만 재밌는 한 주가 됐습니다. 이렇게 도전한 것을 유지해 저만의 습관을 만들어 성장해보겠습니다.

profile
코뿔소처럼 저돌적으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