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 로딩은 리소스를 논 블로킹(중요하지 않음)으로 식별하여 필요할 때만 로드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중요 렌더링 경로의 길이를 단축하는 방법으로, 페이지 로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에는 폴링 방식으로 Video에 녹화된 운전자 모습을 일정 주기로 스냅샷처럼 canvas에 그려 전송하고 있었다.
인증과 인가는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하는 행위라는 비슷한 의미를 지니지만, 엄밀히 따지면 전혀 다른 정의를 가지고 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는 관리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지역 상태(Local State)와 전역 상태(Global State)로 나눌 수 있다.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실전 프로젝트 SNS 편 - 이정환 강의를 듣고 zustand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 학습 내용입니다.
인턴을 수행하며 퍼블리싱에 전념하고 있었다. 내가 담당한 작업이 UI이긴 했지만, 혹시나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또는 정상적인 UI가 표시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createPortal`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react-datepicker와 react-select 라이브러리의 가림 현상에 대해 정리하였다.
Next.js 15 버전에서 apollo client를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다.

Utility Types(유틸리티 타입)이란 제네릭, 맵드 타입, 조건부 타입 등의 타입 조작 기능을 이용해 이후 자주 사용되는 타입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이다.

React(React.js 또는 ReactJS)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비용 관점에서의 메모이제이션메모이제이션을 무분별하게 적용하면 오히려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성능 최적화가 필요한 부분을 React DevTools Profiler와 같은 툴로 확인한 후, 선별적으로 메모이제이션을 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가상화 방식이 도입되었고, 그보다 격리 속성을 완화하여 애플리케이션 간 OS를 공유하는 컨테이너 방식이 등장하였다. 컨테이너 개발 방식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실행하고 중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

then으로 엮여 지저분해진 promise chaining을 좀 더 깔끔하게 정리하는 방법으로, 비동기적인 함수를 async 키워드로 선언하고 내부적으로 promise의 resolve된 값을 await로 받아와 동기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 v3에서는 아래와 같이 tailwind.config.js 파일에 전역 스타일링을 정의해야 했다.만 v4부터는 이런 과정을 더욱 간단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