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인턴 수행 중 두 번째 선임 호출을 하게 되었다..
Next.js 15 버전에서 apollo client를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다.
Utility Types(유틸리티 타입)이란 제네릭, 맵드 타입, 조건부 타입 등의 타입 조작 기능을 이용해 이후 자주 사용되는 타입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이다.
React(React.js 또는 ReactJS)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비용 관점에서의 메모이제이션메모이제이션을 무분별하게 적용하면 오히려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성능 최적화가 필요한 부분을 React DevTools Profiler와 같은 툴로 확인한 후, 선별적으로 메모이제이션을 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가상화 방식이 도입되었고, 그보다 격리 속성을 완화하여 애플리케이션 간 OS를 공유하는 컨테이너 방식이 등장하였다. 컨테이너 개발 방식으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실행하고 중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
then으로 엮여 지저분해진 promise chaining을 좀 더 깔끔하게 정리하는 방법으로, 비동기적인 함수를 async 키워드로 선언하고 내부적으로 promise의 resolve된 값을 await로 받아와 동기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 v3에서는 아래와 같이 tailwind.config.js 파일에 전역 스타일링을 정의해야 했다.만 v4부터는 이런 과정을 더욱 간단히
DockerFile은 base image를 바탕으로 image를 커스터마이징한 것을 기록해 놓은 문서(파일)이다.
EC2(Elastic Compute Cloud)는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이다.
연산자(Operator)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 - 이정환(Winterwood)' 챌린지에 참여하고 후기 글을 작성한다.
전공 수업부터 리눅스 마스터 2급 자격증을 준비하기까지 학습했던 리눅스 명령어들을 정리했다.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자원 공유)는 서로 다른 출처(origin) 간에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말한다.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이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탐색, 관리, 보관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