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CS 498-007 / 598-005] 강의정리 - 19강 Generative Models I

ONground·2022년 6월 11일
2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Generative Models I


  1. Supervised Learning vs Unsupervised Learning
  2. Discriminative vs Generative Models
    2.1) 위 Models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2) Taxonomy of Generative Models
  3. Autoregressive Models
    3.1) Explicit Density Estimation
    3.2) Explicit Density: Autoregressive Models
    3.3) PixelRNN
    3.4) PixelCNN
    3.5) 결과 및 결론
  4. Variational Autoencoders
    4.1) (Regular, non-variational) Autoencoders
    4.2) Variational Autoencoders Overview
    4.3) Variational Autoencoders

1. Supervised Learning vs Unsupervised Learning

Supervised LearningUnsupervised Learning
Data(x,y): x is data, y is label(x, y):\ x\text{ is data},\ y\text{ is label}xx
Goalxyx\rightarrow y 로 가는 function을 학습Learn some underlying hidden structure of the data
ExamplesClassification, regression, object detection, semantic segmantation, image captioning, etc.Clustering, dimensionality reduction, feature learning, density estimation, etc.
  • Unsupervised Learning 예시


2. Discriminative vs Generative Models


Density Function

p(x)p(x) 는 각 가능한 xx에 대해 양의 값을 가진다. 더 클수록 xx가 더 그럴듯 하다.
Density Functions는 nomalized되어있다:

Xp(x)dx=1\int_Xp(x)\,dx=1

확률의 합이 1이 되므로 만약 하나의 확률이 크다면 다른 확률들은 줄어들게 된다. (compete each other)


  • ✅️ Discriminative Model

    Learn a probability distribution p(yx)p(y|x) that predicts probability of the label yy conditioned on the input image xx
    • input xx를 입력받아서 그에 대한 label이 나올 확률을 구한다.

    • 각 input에 대한 가능한 labels사이에서 probability에 대해 compete한다.

    • 그러나 input images 사이에서는 compete하지 않는다.

    • 정해놓은 labels와 다른 input이 주어져도 확률을 계산한다.

  • ✅️ Generative Model

    Learn a probability distribution p(x)p(x)
    • 모든 가능한 images가 probability mass에 대해 compete한다.
    • 이미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개가 앉은것 vs 일어선 것 중 어느 것이 더 그럴듯한가?)
    • 모델불합리적인 inputs에 매우 작은 값을 부여하여 reject할 수 있다.
  • ✅️ Conditional Generative Model

    Learn p(xy)p(x|y)

2.1) 위 Models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2) Taxonomy of Generative Models

  • Explicit density : desity function p(x)p(x)을 계산한다.

    • Tractable density
    • Approximate density : p(x)p(x)를 근사한다.
      • Variational
      • Markov Chain
  • Implicit density : p(x)p(x)를 계산하지는 않지만 p(x)p(x)로부터 샘플링한다. (p(x)p(x)의 값을 얻을 수는 없다. p(x)p(x)가 큰 값을 가지는 것에서 샘플링한다.)

    • Markov Chain
    • Direct

3. Autoregressive Models

3.1) Explicit Density Estimation

Goal : Write down an explicit function for p(x)=f(x,W) x:data, W:learnable weight matrixp(x)=f(x,W)\\ \ x:\text{data},\ W:\text{learnable weight matrix}

x(1),x(2),...,x(N)x^{(1)}, x^{(2)},..., x^{(N)} 의 dataset이 주어졌을 때, 아래의 식을 해결하여 모델을 학습한다.

W=arg maxWip(x(i)): training data의 probability를 Maximiz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arg maxWilogp(x(i))=arg maxWilogf(x(i),W): loss function. gradient descent로 학습시킨다.\displaystyle \begin{aligned} W^*&=\argmax_W\prod_ip(x^{(i)})\,&&\text{: training data의 probability를 Maximiz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rgmax_W\sum_i\log p(x^{(i)})\\ &=\argmax_W\sum_i\log f(x^{(i)},W) &&\text{: loss function. gradient descent로 학습시킨다.} \end{aligned}

3.2) Explicit Density: Autoregressive Models

자기 자신을 입력으로 하여 자기 자신을 예측하는 모형 (출처)

  • xx가 여러 subparts로 이루어져있다고 가정한다. xx가 이미지라고 하면, subparts는 각 픽셀이다.
    x=(x1,x2,x3,...,xT)x=(x_1, x_2, x_3,...,x_T)
  • chainrool을 사용하여 probability를 계산한다.
    p(x)=p(x1,x2,...,xT)=p(x1) p(x2x1) p(x3x1,x2)=t=1Tp(xtx1,...,xt1)\begin{aligned}p(x)&=p(x_1,x_2,...,x_T)\\ &=p(x_1)\ p(x_2|x_1)\ p(x_3|x_1,x_2)\\ &=\prod_{t=1}^Tp(x_t|x_1,...,x_{t-1}) \end{aligned}
    즉, sequence의 확률 p(x)p(x)는 이전 sequence가 주어졌을 때 다음 sequence가 나올 확률을 전부 곱한 것이다.
    대체 무엇이 probability distribution이고 어떻게 계산이 된다는 것인지 개념이 잘 이해가 안간다면 이 링크를 보고 다시 깨우보자..

이는 이전 subparts를 모두 가지고 다음 subpart를 계산하는 RNN모델과 유사하다.

3.3) PixelRNN

왼쪽 위의 pixel에서부터 시작하여 RNN을 통해 한번에 하나의 pixel을 생성한다.

각 pixel의 hidden state는 왼쪽위쪽의 hidden state와 RGB values에 의존한다.

hx,y=f(hx1,y, hx,y1, W)h_{x,y}=f(h_{x-1,y}, \ h_{x,y-1}, \ W)

그리고 channel은 R, G, B의 순서로 정의하여 계산한다. (출처)

p(xiX<i)=p(xi,RX<i) p(xi,GX<i,xi,R) p(xi,BX<i,xi,R,xi,G)p(x_i|X_{<i})=p(x_{i,R}|X_{<i})\ p(x_{i,G}| X_{<i}, x_{i,R})\ p(x_{i,B}|X_{<i}, x_{i,R}, x_{i,G})

그러나 NxN이미지는 2N-1의 sequential steps를 필요로 하므로 training과 testing에서 모두 매우 느리다.

3.4) PixelCNN

이전 pixel들로부터 의존성을 가져오기 위해 convolution을 사용한다. PixelRNN에서처럼 왼쪽 위 pixel에서 시작하여 하나하나 pixel을 생성한다.

그러나 미래 정보를 반영하면 안되기 때문에 convolution연산에 반영하지 않을 부분에 0을 곱해서 제외한다.

PixelRNN보다 Training시 더 빠르다.(Training 이미지에서 context region 이후의 값들을 알기 때문에 convolution을 병렬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Generation 시에는 sequential하게 작동하므로 여전히 느리다.

3.5) 결과 및 결론

위 사진은 PixelRNN으로 생성한 이미지이다.

  • 겉으로 보기에는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자세히 보면 거지같다..
  • 그래도 edges, colors를 꽤나 그럴싸하게 생성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 이는 unconditional generation이므로 test time에 내가 무엇을 생성하고 있는지 정할 수 없다.

✅️ Autoregressive Models 장단점

  • Pros
    • Likelihood p(x)p(x)를 명시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 위의 장점 덕분에 좋은 evaluation metric을 얻는다. (training data와 유사한, 즉 얼마나 그럴듯한지에 대한 p(x)p(x)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나름 괜찮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진짜 사진같지는 않지만..)
  • Cons
    • Sequential Generation 이므로 느리다.

4. Variational Autoencoders

PixelRNNPixelCNN에서는 parametric densitiy function p(x)=f(x,W)p(x)=f(x,W)을 정의하여 각 input에 대해 계산하고 각 input에 대해 값을 최대화하도록 학습하였다.

VAE에서는 실제 density 값을 최대화하는 대신, density의 lower bound를 최대화시킨다.

pθ(x)=i=1npθ(xix1,...,xi1)p_\theta(x)=\prod_{i=1}^np_\theta(x_i|x_1,...,x_{i-1})

4.1) (Regular, non-variational) Autoencoders

Unsupervised method로, labels 없이 raw data xx로부터 feature vectors를 학습한다.
Unsupervised method for learning feature vectors from raw data x, without any labels

  • Features는 downstream tasks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

  • Encoder을 통해 input data에서 추출한 features를 사용하여

  • Decoder을 통해 다시 input data를 reconstruct한다.

  • Encoder

    • Originally: Linear + nonlinearity (sigmoid)
    • Later: Deep, fully-connected
    • Later: ReLU CNN (upconv)

    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Encoder을 통해 input data를 압축 (lower dimension)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 학습을 마친 후, decoder을 버리고, encoder을 사용하여 downstream task에 사용한다.
  • Not probabilistic : 학습하지 않은 new data를 sampling할 수 없다.

4.2) Variational Autoencoders Overview

처음 보면 이해가 매우 힘든 개념이라서 다시 볼 때도 (출처)를 읽어서 이해하려고 해보자..

Autoencoder에 확률 개념을 도입하였다
1. raw data로부터 latent features zz를 학습한다.
2. new data를 생성하기 위해 model로부터 sampling한다.

✅️ 기본개념

latent features zz로부터 input data와 유사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data인 xx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Decoder부분이다.)
prior distribution pθ(z)p_{\theta*}(z)에서 latent variable을 sample하고, sampling한 zzdecoder에 넣어서 image xx를 predict한다. 이때 output은 single image가 아니라 images에 대한 distribution이다.


pθ(z)p_{\theta*}(z) : prior distribution으로 zz의 확률밀도함수이다. 가우시안을 따른다고 가정한다.
pθ(xz(i))p_{\theta*}(x|z^{(i)}) : 주어진 zz에서 특정 xx가 나올 조건부 확률에 대한 확률밀도함수
θ\theta : 파라미터


VAE에서의 zzAE에서의 zz(a value: low dimension of input data)와 다르게,
가우시안 확률분포에 기반한 확률값으로 나타낸다.

  • input image가 들어오면 그 이미지의 다양한 특징들이 각각의 확률변수가 되는 확률분포를 만든다. 이 확률 분포를 잘 찾아내어 확률값이 높은 부분을 사용하면 그럴듯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 이때 각 feature가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latent zz는각 feature의 평균과 분산값을 나타낸다.

  • 예를 들어 한국인의 얼굴을 그리기 위해 눈, 코, 입 등의 feature를 Latent vector zz에 담고, 그 zz를 이용해 그럴듯한 한국인의 얼굴을 그려내는 것이다. latent vector zz는 한국인 눈 모양의 평균 및 분산, 한국인 코 길이의 평균 및 분산, 한국인 머리카락 길이의 평균 및 분산 등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수학적 의미

모델의 파라미터 θ\theta가 주어졌을 때, 우리가 원하는 정답인 xx가 나올 확률 pθ(x)p_{\theta*}(x)가 높을 수록 좋은 모델이다. 따라서 pθ(x)p_{\theta*}(x)를 최대화하도록 파라미터를 학습시킨다.

4.3) Variational Autoencoders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보자.

  • image가 들어왔을 때 p(z)p(z)는 image의 각 pixel에 대해 알맞는 각각의 가우시안 distribution이다.
  • 즉, pixel별로 각각의 μ,σ\mu, \sigma를 가진 가우시안 distribution을 갖는다.

그러나 만약 high resolution image라면 이는 매우매우매우 많은 값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general Gaussian distribution 대신에 Diagonal Gaussian distribution을 사용한다. 즉, zz가 주어졌을 때 generated image의 pixel들 사이의 covariance는 없다. pixel들은 independent하다.

Decoderzz를 입력받아서 mean μxz\mu_{x|z}와 diagonal covariance xz\sum_{x|z}를 출력한다.
그리고 μxz\mu_{x|z}, xz\sum_{x|z}를 갖는 Gaussian으로부터 xx를 sample한다.

✅️ How to train this model?

maximize likelihood of data pθ(x)p_{\theta*}(x)

만약 우리가 xx에 대해 zz를 관측할 수 있다면 conditional generative model p(xz)p(x|z)를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zz를 관측할 수 없으므로 marginalize한다.

pθ(x)=pθ(x,z)dz=pθ(xz)pθ(z)dzp_\theta(x)=\int p_\theta(x,z)\, dz = \int p_\theta(x|z)p_\theta(z)\, dz
  • pθ(xz)p_\theta(x|z)decoder network의 output이므로 계산가능하다.
  • pθ(z)p_\theta(z)는 우리가 정한 가우시안 prior이다.
  • 그러나 모든 zz에 대해 적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베이즈 정리를 사용한다

pθ(x)=pθ(xz)pθ(z)pθ(zx)p_\theta(x) = {p_\theta(x|z)p_\theta(z) \over p_\theta(z|x)}
  • pθ(xz)p_\theta(x|z)pθ(z)p_\theta(z)는 계산가능하다.
  • 그러나 pθ(zx)p_\theta(z|x)는 계산할 방도가 없다. (어떻게 생성하지도 않은 image가 주어짐을 가정할 수 있나.)


따라서 또다른 network(encoder) qq를 도입한다.

qϕ(zx)pθ(zx)q_\phi(z|x)\approx p_\theta(z|x)

새로운 네트워크 encoder은 위의 식을 학습한다.


따라서

pθ(x)=pθ(xz)pθ(z)pθ(zx)pθ(xz)pθ(z)qϕ(zx)p_\theta(x) = {p_\theta(x|z)p_\theta(z) \over p_\theta(z|x)} \approx {p_\theta(x|z)p_\theta(z) \over q_\phi(z|x)}


위의 사실들을 조합하여 pθ(x)p_\theta(x)를 근사할 수 있다. 아래는 그 과정인데 이 식을 도저히 이해하기가 너무 힘들다. 언젠가 이해할 날을 기대하며 적어본다.

logpθ(x)=logpθ(xz)p(z)pθ(zx)=logpθ(xz)p(z)qϕ(zx)pθ(zx)qϕ(zx)=logpθ(xz)logqϕ(zx)p(z)+logqϕ(zx)pθ(zx)\displaystyle\begin{aligned} \log p_\theta(x) &= \log {p_\theta(x|z)p(z) \over p_\theta(z|x)} \\\\ &= \log {p_\theta(x|z)p(z)q_\phi(z|x) \over p_\theta(z|x)q_\phi(z|x)}\\\\ &= \log p_\theta(x|z) - \log {q\phi(z|x) \over p(z)} + \log {q_\phi(z|x) \over p_\theta(z|x)} \end{aligned}

We can wrap in an expectation since it doesn't depend on z

logpθ(x)=Ezqϕ(zx)[logpθ(x)]=Ez[logpθ(xz)]Ez[logqϕ(zx)p(z)]+Ez[logqϕ(zx)pθ(zx)]=Ezqϕ(zx)[logpθ(xz)]DKL(qϕ(zx),p(z))+DKL(qϕ(zx),pθ(zx))\displaystyle\begin{aligned} \log p_\theta(x)&= E_{z\sim q\phi(z|x)}[\log p_\theta(x)]\\\\ &= E_z[\log p_\theta(x|z)]-E_z\left[\log {q_\phi(z|x) \over p(z)}\right] + E_z\left[ \log {q_\phi(z|x) \over p_\theta(z|x)}\right]\\\\ &=E_{z\sim q_\phi(z|x)}[\log p_\theta(x|z)]-D_{KL}(q_\phi(z|x),p(z))+D_{KL}(q_\phi(z|x),p_\theta(z|x)) \end{aligned}

마지막 식에서

  • 첫번째 term : Data reconstruction
  • 두번째 term : KL divergence between prior, and samples from the encoder network
  • 세번째 term : KL divergence between encoder and posterior of decoder

그러나 세번째 term은 구할 수 없음. 하지만 KL은 항상 양수의 값을 가지므로 이는 likelihood의 lower bound를 구할 수 있게 해준다.

logpθ(x)Ezqϕ(zx)[logpθ(xz)]DKL(qϕ(zx),p(z))\log p_\theta(x) \ge E_{z\sim q_\phi(z|x)}[\log p_\theta(x|z)] - D_{KL}(q_\phi(z|x),p(z))

이를 통해 encoderdecoder를 jointly하게 학습시켜서 data likelihood의 variational lower bound를 최대화시키는 방향으로 학습시킨다.


진자 VAE는 너무 이해하기가 힘들었고 공부하기도 힘들었다. 19강 강의 하나 보는데 6시간은 걸린 것 같다.. 그런데도 아직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것 같아서 좀 자괴감이 온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