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을 제작할 때 빠질 수 없는 기능 중 하나인 "좋아요"버튼 생각보다 복잡한 코드 구성이지만 차근차근 해서 드디어 성공했습니다. 클릭한 아이템의 상세 페이지에서 "좋아요" 상태를 변경하고 돌아와서 해당 변경을 메인 액티비티에서 반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코드들을 정리해
리사이클러뷰 멀티 뷰 타입이란 여러 개의 뷰 타입, 즉 리사이클러뷰 내에서 한 개의 뷰 형태만을 랜더링 하는 게 아니라 다수의 뷰 형태를 가지는 객체들을 랜더링하는 방법입니다. 리사이클러뷰를 사용해 뷰를 생성하면 일반적으로는 가로, 혹은 세로로 나열되지만, 각기 다른
RecyclerView를 사용하여 리스트를 표시하고, 각 아이템의 클릭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별 아이콘 클릭 시 즐겨찾기 토글, 전화번호 클릭 시 해당 번호로 전화발신) RecyclerView는 많은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표시할 수 있으며, ViewBindin
지난번에 이어 추가로 2가지 기능을 더 구현했다.🔗 사과마켓 git(✔) RecyclerViewer를 이용해 리스트 화면을 만들어준다.(✔) 상품 이미지는 모서리를 라운드 처리한다.(✔) 이름은 최대 두 줄이고, 넘어가는 부분은 ...으로 처리한다.(✔) 뒤로가기(B
개인과제의 시간이 돌아오면서 이번에는 리사이클러뷰를 이용한 당근마켓 클론코딩을 진행한다. 심화과정으로 넘어오면서 상당부분의 사용 빈도를 차지하는 뷰바인딩, 어댑터뷰, 프래그먼트, 다이얼로그, 알림 등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사과마켓 git(✔) RecyclerVi
에뮬레이터 갤러리에서 사진첩을 연동해 사진을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할 때 갤러리에 미리 사진 이미지를 넣어두고 싶어 검색해보고 적용해보았는데 이상하게도 이미지 경로는 정상인 것 같은데 사진첩에 이미지가 들어가 있지 않았다.😥에뮬레이터를 이리저리 만져본 결과 방법을 찾
Edit Profile 갤러리에서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이미지를 ImageView에 표시하는 코드입니다. 프로필의 EDIT 버튼 클릭 -> 사진첩에서 원하는 이미지 선택 -> 변경된 프로필 이미지 확인 1) ActivityResultLauncher 설정: re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사용되는 기술로서, 뷰와 데이터를 간단하게 바인딩(연결)하여 UI를 업데이트하는 데 도움을 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XML 레이아웃 파일에서 정의된 뷰와 액티비티 또는 프래그먼트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간의 연결을 쉽게 만들어줍니다.XML 레이아웃 파
앱을 클릭하면 스플래시화면이 나타나고, 3초뒤 메인화면으로 전환됩니다.제가 제일 좋아하는 양파쿵야! 맑은 눈의 광인처럼 너무 귀엽지 않나요?사심 가득 컨셉으로 꾸며봤습니다.😉File -> New -> Image Asset 에서 변경 가능합니다.Path 항목을 선택하면
지난번에 이어서 자기소개앱의 마지막 화면인 자기소개 페이지까지 만들어 보았습니다.전글을 안보신 분들을 위해 요약하자면 순서는 이렇습니다.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고 아이디 값을 Extra로 아이디 값을 넘겨줍니다.로그인 아래의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 페이지로 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활용해 간단한 자기소개앱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또한, 로그인 페이지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값을 넘겨주고, 자기소개 페이지에서 불러오는 로직도 추가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로그인 페이지회원 가입 페이지자기소개 페이지로고 넣기아이
휴대용 장치를 위한 운영 체제와 미들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모바일 운영 체제이자 모바일 플랫폼이다.안드로이드 앱의 UI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뷰(View)이다.모든 UI 컴포넌트들의 부모 클래스이다.뷰는 위젯과 레아이웃으로 구분
🔗풉튜브(PoopTube) 깃헙 바로가기💩이번 팀프로젝트의 팀명은 똥멍청이의 반란입니다. 팀명의 '응가(Poop)'와 미디어를 보며 재밌어서 '풉풉' 웃는 모습의 이중적인 의미를 담은 컨셉으로, YouTube Data API v3을 이용하여 가장 인기있는 동영상과
!youtubeQB1Auybk06kres 아래에 리소스 디렉토리로 anim, raw를 각각 만들어준다.anim에는 애니메이션 xml 파일을 생성하고, raw에는 효과음 파일을 넣어주면 된다.
시작하며 그동안은 일주정도 주제가 주어진 단기 프로젝트를 진행 해왔었는데, 시간이 흘러 최종 팀 프로젝트의 때가 되었다. 최종인 만큼 신경써야 할 부분이 대폭 늘어났고, 팀 내에서 기획과 설계, 디자인, 개발 등 앱 전반적인 모든 제작에 참여하다보니 부담이 굉장히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