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DB를 설계하기위해서 데이터 모델링라는 과정을 거치게됩니다. 데이터 모델링이란 업무내용을 분석하고 약속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데이터 모델링 총 4가지의 절차로 이루어집니다.업무파악(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필요한 데이터를 파악해서 관계를 설정
SQL - 1970년대 IBM이 Sequel 이란것을 만들었고 이후 SQL이 되었다. 1980년대 SQL표준을 제정하였고 현재까지의 DB들은 이 표준을 일부 따른다. DDL(data-definition-Language) 스키마를 정의/수정/삭제 할때 사용 각 Re
트랜잭션이란, DB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쿼리를 모아놓은 작업의 단위 를 말합니다. 은행에서 A에서 B로 송금을 하려고 한다고 할때, A에서 돈을 빠져나갔지만 B로 입금이 되지 않았을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이럴 때 A의 송금을 취소하거나,
인덱스 인덱스란, 저장공간을 활용해서 DB의 검색 속도를 향샹시키기 위한 자료구조 입니다. DB의 테이블을 모두 탐색해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간은 오래걸릴 수 있기때문에, 데이터와 위치를 포함한 자료구조(인덱스) 생성합니다. 컬럼에 대한 정보를 정렬 예시) 책 뒤에 있
정규화 소개
하나의 조회쿼리로 N개의 객체가 조회되는 경우에, 각각의 객체안에 또다른 객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또다른 객체를 조회하기위해서 다시 하나의 조회쿼리가 필요하다. 즉, 하나의 조회쿼리로 N개의 객체가 조회되었고 다시 N개의 내부 객체를 조회하기위해서 N개의 조회쿼리
인터넷 발전과 함께 데이터가 방대하게 증가 하였고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커버할 수 없어서 한계를 느겼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하였습니다.기존의 SQL을 사용해서 테이블에 접근하는 방식과는 달랐기에 Not Only SQL이라 칭합니다. 이는 DBMS를 제외한 모든
JDBC API를 사용해서 DB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Connection 객체를 생성해야한다. 이때 Connection 객체를 생성하는 작업을 많은 비용이 드는 작업이다. 때문에 매번 DB를 사용할때마다 Connection 객체를 생성해서 연결해주는 과정은 비효율적이다.
Program이란, > 실행 가능한 파일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여러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가 실행시킬 수 있게 만들어진 파일 정적인 상태의 파일 Process란, > 실행중인 Program(인스턴스) 동적인 상태의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운영체제로 부터
스케줄링 알고리즘 종류 FIFO 스케줄러 최단 작업 우선(SJF) 스케줄러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러(Priority-Based) Round Robin 스케줄러 프로세스 상태 기반 스케줄러
프로세스 동기화란, >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하나의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게되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다. 이렇게 공유되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코드를 critical section 이라고 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프로세스 동기화가 필요하다. 해결 방법 : critic
메모리 계층 구조는 여러 종류의 기억장치를 속도, 용량, 성능에 따라 계층 적으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레지스터와 캐시 : CPU 내부에 존재함으로 CPU에 접근하기 빨라 성능이 좋다주기억 장치(메모리) : CPU 외부에 존재하기에 레지스터와 캐시보다는 성능이 좋지 않
페이지 단위란,고정 분할 방식 : 페이지 관리 어려움세그먼트 단위란,가변 분할 방식 : 외부 단편화외부 단편화란,메모리 분할 방식?가변 분할 방식, 고정 분할 방식가장 주소를 나눈 단위 : 페이지물리 주소를 나눈 단위 : 프레임https://velog.io/@
CPU : 프로세스 관리(CPU 스케줄링, 프로세스 동기화)주기억장치 : 메인 메모리 관리(페이징, 가상 메모리)보조기억장치 : 파일 시스템파일이란, 논리적인 저장단위로 관련된 정보들의 집합에 이름을 붙여 저장한 것을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 레코드, 블록 단위로 저장보조
학습 한후 OSI 7계층이란?OSI 7계층으로 나눈 이유는?MAC 주소란?DNS란?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는?라우팅이란?에 대해서 적어보자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이란, 통신이 일어난 과정을 7가지 과정으로 나타낸 것.국제
Port란, 논리적인 접속 장소를 의미합니다. TCP/IP를 사용할때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에서의 특정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사용합니다.IP :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Port : 그 컴퓨터 안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찾기위한 수단.각각의 응용프로그램
TCP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 형태(세그먼트)로 전달하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입니다. TCP는 애플리케이션에게 신뢰적이고 연결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일반적으로 IP와 함께 사용되며 IP는 배달(주소지정)을 TCP는 패킷의 추적 및 관리(
Rest 정의 : 분산 하이퍼미디엇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_아키텍처 : 구조의 설계즉, 네트워크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규칙)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자원의 이름으로 구분하여 자
IP,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컴퓨터, 서버 장치, 스마트폰 등)를 식별할 수 있도록 장치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네트워크 데이터가 우리에게 도달하기 위한 주소 정보IPv4 (일반적인 IP)IPv6첫 번째로 사용된 인터넷 프로토콜8비트씩 4자리. 을 기준으로 4개의 숫자(
OSI 7계층 :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의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한 모델TCP/IP 4계층 : 더 실무적이면서 프로토콜 중심으로 단순화된 모델\_현재 OSI 7계층 보다는 TCP/IP 4계층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OSI 7계층이 이론적이라면 TCP/IP 4계층은
통신하며 일련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서비스를 요청할때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클라이언트)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으로 분류여기서는 응용계층에 세션계층과 표현계층을 포함해서 설명한다.클
전송계층이 없어도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이 3가지의 계층만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하지만, 라우팅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패킷이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즉,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보낼 수 없을 수 있습니다.때문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는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의 데이터 전송밖에 할 수 없다. 즉, LAN범위 이내에서만 교환이 가능한 것이다.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의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위해 네트워크 계층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와 어떻게 데이터를 교환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