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 함수와 공간곡선

pDestiny·2022년 9월 4일
0

Mathematics

목록 보기
2/4
post-thumbnail

벡터 함수와 공간곡선

이 내용은 James Stewart의 미적분 2 의 내용임을 밝힙니다.

벡터값 함수 또는 벡터 함수는 정의역이 실수인 집합이고 치역이 벡터의 집합인 함수이다.

f(t),g(t),h(t)f(t), g(t), h(t) 가 벡터 r(t)r(t)의 성분일 때, f,g,hf, g, h는 실수값 함수로 rr성분함수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t)=<f(t),g(t),r(t)>=f(t)i+g(t)j+h(t)kr(t) = <f(t), g(t), r(t)> = f(t)i + g(t)j + h(t)k

※ i, j, k는 표준 벡터이다.

벡터 함수 rr극한은 다음과 같이 이것의 성분함수들의 극한을 택해서 정의한다.

definition
r(t)=<f(t),g(t),r(t)>r(t) = <f(t), g(t), r(t)> 일 때, (아래 성분의 극한이 존재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tar(t)=<limtaf(t),limtag(t),limtar(t)>\lim_{t\to a}r(t) = <lim_{t\to a}f(t), lim_{t\to a}g(t), lim_{t\to a}r(t)>

즉, 벡터 함수의 극한은 실수값 함수의 극한과 똑같은 규칙을 따른다.

보기 2

r(t)=<(1+t3),tet,sintt>r(t) = <(1 + t^3), te^{-t}, \frac{\sin t}{t}> 일 때, limt0r(t)\lim_{t\to 0}r(t)를 찾아라.

따로 극한을 따져 보면

limt0(1+t3)=1\lim_{t\to 0}(1 + t^3) = 1

limt0tet=0\lim_{t\to 0}te^{-t} = 0

limt0sintt\lim_{t\to 0}\frac{\sin t}{t}은 로피탈 정리에 따라 00\frac{0}{0} 부정형 형태를 가짐으로 (sint)(t)=(cost1)=1\frac{(\sin t)'}{(t)'} = (\frac{\cos t}{1}) = 1 을 가진다.

즉, r(t)=<(1+t3),tet,sintt>r(t) = <(1 + t^3), te^{-t}, \frac{\sin t}{t}>t0t \to 0 극한은 <1,0,0><1, 0, 0> 이다.

보기 6

기둥 x2+y2=1x^2 + y^2 = 1 과 평면 y+z=2y + z = 2의 교선의 방정식을 표현하는 벡터함수를 찾아라.

solution

x2+y2=1x^2 + y^2 = 1 은 다시 표현하면 sin2x+cos2x=1\sin^2 x + \cos^2 x = 1 과 같음으로 x=sinx,y=cosxx = \sin x, y=\cos x로 볼 수 있다. z=2cosxz = 2 - \cos x 가 됨으로, 벡터 함수 r(x)r(x)

r(x)=<sinx,cosx,2sinx>r(x) = <\sin x, \cos x, 2 - \sin x> 이다.

벡터함수의 도함수

drdt=r(t)=limh0r(t+h)r(t)h\frac{dr}{dt} = r'(t) = \lim_{h \to 0}\frac{r(t + h) - r(t)}{h}

r(t)r'(t) 가 존재하고 r(t)0r'(t) \ne 0 일 때, r(t)r'(t)를 벡터 함수의 치역인 곡선의 임의의 점 PP 에서 rr로 정의된 곡선에 대한 접선 벡터라고 한다.

다음 정리는 벡터 함수 rr의 도함수를 셈하는 간편한 방법을 제공한다. 곧, rr의 각 성분을 미분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Thereom
r(t)=<f(t),g(t),r(t)>=f(t)i+g(t)j+h(t)kr(t) = <f(t), g(t), r(t)> = f(t)i + g(t)j + h(t)k이고, f,g,hf, g, h가 미분가능한 삼수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r(t)=<f(t),g(t),r(t)>=f(t)i+g(t)j+h(t)kr'(t) = <f(t)', g(t)', r(t)'> = f(t)'i + g(t)'j + h(t)'k

보기 9

곡선 r(t)=ti+(2t)jr(t) = \sqrt{t}i + (2-t)j에 대해 r(t)r'(t)를 찾고, 위치 벡터 r(1)r(1)과 접선 벡터 r(1)r'(1) 을 그려라.

그래프와 같이 벡터함수의 미분값이 곡선의 기울기와 평행함을 알 수 있다.

미분 법칙

[5] Theorem

u,vu, v는 미분 가능한 벡터 함수이고, cc는 스칼라이며, ff는 실수값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1. ddt{u(t)+v(t)}=u(t)+v(t)\frac{d}{dt}\{u(t) + v(t)\} = u'(t) + v'(t)

  2. ddt{cu(t)}=cu(t)\frac{d}{dt}\{cu(t)\} = cu'(t)

  3. ddt{f(t)u(t)}=f(t)u(t)+f(t)u(t)\frac{d}{dt}\{f(t)u(t)\} = f'(t)u(t) + f(t)u'(t)

  4. ddt{u(t)v(t)}=u(t)v(t)+u(t)v(t)\frac{d}{dt}\{u(t)\cdot v(t)\} = u'(t) \cdot v(t) + u(t) \cdot v'(t)

  5. ddt{u(t)×v(t)}=u(t)×v(t)+u(t)×v(t)\frac{d}{dt}\{u(t) \times v(t)\} = u'(t) \times v'(t) + u(t) \times v'(t)×\times는 outer product 이다

  6. ddt{u(f(t))}=f(t)u(f(t))\frac{d}{dt}\{u(f(t))\} = f'(t)u'(f(t))

보기 11

r(t)=c|r(t)| = c이면, 모든 tt에 대해 r(t)r'(t)r(t)r(t) 에 수직임을 보여라.

r(t)r(t)=c2r(t) \cdot r(t) = c^2 이다. 이를 미분하면 [5] Theorem 4번에 따라,

{r(t)r(t)}=r(t)r(t)+r(t)r(t)\{r(t) \cdot r(t)\}' = r'(t) \cdot r(t) + r(t) \cdot r'(t)

r(t)r(t)+r(t)r(t)=2r(t)r(t)=0r'(t) \cdot r(t) + r(t) \cdot r'(t) = 2r(t)\cdot r'(t) = 0

즉, r(t)r(t)=0r(t) \cdot r'(t) = 0 임으로 r(t)r'(t)r(t)r(t) 에 수직임을 알 수 있다.

적분

벡터 함수에 대한 정적분은 실수값 함수와 같은 방법으로 정의된다. 다만 적분 결과가 벡터이다.

abr(t)dt=(abf(t)dt)i+(abg(t)dt)j+(abg(t)dt)k\int_a^br(t)dt = \left(\int_a^bf(t)dt\right)i + \left(\int_a^bg(t)dt\right)j + \left(\int_a^bg(t)dt\right)k

즉,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를 적용할 수 있어 아래와 같이 풀어 낼 수 있다.

abr(t)dt=R(b)R(a)\int_a^br(t)dt = \mathbf{R}(b) - \mathbf{R}(a)
R\mathbf{R}rr의 역도함수이다.

profile
Bioinformatician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