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wsl), CentOS7 사용기

hyeok2·2023년 6월 21일
0

linux

목록 보기
1/10
post-thumbnail

리눅스를 접하다.

사람들이 가장 먼저 생각하는 개발자.까만화면에 흰글자.
그게 일반적인 터미널 환경에서 리눅스 개발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 "이게 뭐지?"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현재는 원격 환경을 접속하기 위하여 리눅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도커, 하둡, 스파크, VPC, EC2 등을 이용하면서 리눅스의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는 중이다.

ubuntu와 centos의 차이

어떤 패키지 관리자이냐?

사용을 해보며 느낀 두 환경의 가장 큰차이는  패키지관리자가 다르다는 점이다. 
물론 시스템 설정측면도 많이 다르지만 apt-get update와 yum update 두가지의 차이가 꽤 크다.

사용자가 누구냐?

ubuntu는 개인 사용자에게 포커싱, centos는 RedHat기반이라 서버에서 많이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centos는 업데이트가 잘안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커뮤니티가 ubuntu가 훨씬 활발하기에 정보를 얻기도 좋다.
물론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 골라잡으면 될듯하다.

기본 세팅 Putty, FileZilla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Putty, FileZilla라고 생각된다.
꼭 Putty 와 FileZilla를 이용하지 않아도 터미널에서 sshscp를 이용하여 얼마든지 서버 접속과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하지만 putty에 ppk파일을 미리 등록하여 원격 접속이 손쉽게 가능하며, 해당 환경에서 어떤 작업을 진행하였는지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는 큰 장점.

FileZilla로 파일을 윈도우와 같이 시각적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을 굳이 외면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굳이 scp를 이용하여 전송을 한다면.. 나는 누구 whoami / 나는 어디 pwd / 누구랑 있어? ls -al 을 수없이 입력하게될지어다..)

현재는 원격환경을 접속하기 위함으로 AWS EC2에서 생성해놓은 인스턴스들을 접속을 할때 putty 또는 superputty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wsl에서의 ubuntu 사용

python3 -m venv 가상환경 / sudo su / su 사용자 / cd .. / cd 폴더명 /vim 파일명

vscode에서 접속한 wsl ubuntu 사용시 위의 코드만 계속 입력한 것 같다.
물론 도커를 실행함에 있어서도 wsl 에서 사용했으며, 기타 작업들도 해당 환경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요즘은 wsl말고 버츄얼 우분투 환경인 멀티패스도 사용한다는데 궁금하다.)

https://multipass.run/

profile
땅을 파다보면 흙과 물을 보겠지만, 코드를 파다보면 답이 보일것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