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이 가장 먼저 생각하는 개발자.까만화면에 흰글자.그게 일반적인 터미널 환경에서 리눅스 개발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 "이게 뭐지?"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현재는 원격 환경을 접속하기 위하여 리눅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도커, 하둡, 스파크, VPC, E

저장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wsl 이주작업.

우분투 설치후 터미널이 안열리는 현상

k-ict에서 분석 관련서버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오래되었으니 수정이 필요하다.

도커란? 리눅스 컨테이너에 여러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서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오픈소스 프로젝트 도커 프로젝트 Docker Compose Private Registry Docker Machine Ki

putty 에서는 key파일로 GCP 인스턴스에 잘 접속 되는데 VS Code에서는 안되는 문제

왜 알파인리눅스인 것인가?

centos7는 이제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환경이다. centos는 올해 6월 종료예정이므로 빠르게 다른 리눅스 환경을 사용하여야한다.

사용할 서버가 centos7로 기본 설치된 파이썬이 python2였다. 따라서 python3을 설치하고 사용하려고 하였으며, 기본 설정도 python3로 하려고 했다.wget https://www.python.org/ftp/python/3.11.9/Python

먼저 이 작업을 해보게된건 일을 하면서 test를 하기 위하여 작업을 하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