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무가설 : 정규분포를 따른다.
대립가설 :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모든 표본 하나씩 다 확인해야 함
만약 하나의 표본이라도 귀무가설을 기각할 경우 분산 분석을 실시하지 못함
stats.kruskal(집단 의 양적자료, 집단 2의 양적자료, 집단 3의 양적자료)
stats.f_oneway(집단 1의 양적자료, 집단 2의 양적자료, 집단3의 양적자료)
# oneway : 일원배치 (일원 = 하나의 질적 자료)
import pingouin as pg
pg.welch_anova(dv = '양적자료', between = '집단(질적자료)', data = )
# dv : dependent variable (종속변수 = 반응변수) : 양적자료
# between : independent variable (독립변수 = 설명변수) : 질적자료
from statsmodels.stats.multicomp import pairwise_tukeyhsd
from statsmodels.stats.multicomp import MultiComparison
mc = MultiComparison(data = 양적 자료, groups = 질적 자료)
print(mc.tukeyhsd())
import scikit_posthocs as sp
sp.posthoc_conover(data,
val_col = '양적 자료',
group_col = '질적 자료',
p_adjust = 'holm')
# p_adjust : 다중비교(또는 사후분석)의 방법
# 'holm' : Bonferroni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