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 관계의 특수한 형태로서 첫번째 원소가 같지 않은 순서쌍들의 집합
R = {(a,b), (c,d)... (a,d)} -> 이러면 안된다는 것
f: X->Y
X를 f의 정의역, Y를 f의 공변역이라 한다.
함수 f의 정의역(domain)은 Dom(f)라 표시
함수 f의 치역(range)은 Ran(F)라 표시 (공변역 != 치역)
(1) 각 회원에 그 사람의 나이를 대응 -> O
(2) 각 회원에 그 사람의 성별을 대응 -> O
(3) 각 회원에 그 사람의 배우자를 대응 -> X (결혼안한 사람 존재)
(1) {(1,a), (1,b), (2,c), (3,b)} -> X (b에 두개 묶임)
(2) {(a,a}, (b,b), (c,c)} -> O
(3) {(x,y)| x,y ∈ Z, y-x = 1} -> O (y=x+1)
(4) {(x,y)| x,y ∈ N, y-x = 1} -> 정의역은 자연수, 치역은 2보다 큰 자연수
-> 정의역이 한번씩만 쓰이므로 함수가 맞다.
(1) y = x+2
X | Y |
---|---|
-2 | 0 |
-1 | 1 |
0 | 2 |
1 | 3 |
2 | 4 |
(2) y = x²
X | Y |
---|---|
-2 | 4 |
-1 | 1 |
0 | 0 |
1 | 1 |
2 | 4 |
(3) y = |x|
X | Y |
---|---|
-2 | 2 |
-1 | 1 |
0 | 0 |
1 | 1 |
2 | 2 |
(4) y = 2^x (지수)
X | Y |
---|---|
-2 | 1/4 |
-1 | 1/2 |
0 | 1 |
1 | 2 |
2 | 4 |
∀ai, aj ∈ A, f(ai) = f(aj) => ai = aj
단사함수 -> x가 다르면 다른 값을 가리켜야 함 (일대일 함수)
∀b ∈ B, ∃a ∈ A, f(a) = b
(공변역과 치역이 같다) (반영함수)
a->1
b->2
c->3
4(x)
(일대일대응 + 공변=치역)
1) f가 단사함수인 경우에 B의 모든 원소가 A의 원소와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므로 A의 원소와 B의 원소의 개수를 비교하면 |A| <= |B|이 성립됨.
즉, B의 원소의 개수는 A의 원소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아야됨.
2) f가 전사함수의 경우에 그와 반대로 B의 모든 원소가 A의 원소와 대응되어야 하므로 A의 원소와 B의 원소의 개수를 비교하면 |A| >= |B|이 성립. 즉, A의 원소의 개수는 B의 원소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아야함 (같은 것을 가리켜도 됨. 다만 모드 대응해야 함)
3) f가 전단사함수 -> |A| = |B|, 둘의 개수가 같음 (일대일 대응)
(1)
단사 X (x값이 다르면 y값도 달라야함)
전사 O (x값이 모두 대응, y중복 여부 관계 X, 공변 == 치역)
전단사 X
(2)
단사 O (x에 대응하는 y값이 모두 다름)
전사 O (x값 모두 대응, 공변 == 치역)
전단사 O
(3)
단사 O (x에 대응하는 y값 모두 다름
전사 X (공변 != 치역이므로 전사 X)
전단사 X
-> 단사O (사람(x)마다 모두 다른 값(y)), 전사O (모두 다 대응, 대응되지 않는 번호는 없음(공변==치역)), 전단사 O
f₁ = {(1,z), (2,y), (3,x), (4,y)}
f₂ = {(1,x), (2,x), (3,y), (4,z)}
f₃ = {(1,x), (2,x), (3,y), (4,y)}
(1) f₁(x) = sin x
단사 X (-파이와 +파이에서 중복되는 값이 생김)
전사 X (공변역 = y축 전체, 치역 = -1 ~ 1까지 -> 둘이 다르니 전사 X)
전단사 X
(2) f₂(x) = x²
단사 X
전사 X (공변역 y축 전체, 치역 0이상)
전단사 X
(3) f₃(x) = 2^x
단사 O
전사 X (위와 마찬가지)
전단사 X
(4) f₄(x) = x³+2x²
단사 X (x가 -2, 0일때 0으로 중복)
전사 O
(1) f: N->N이고, f(x) = 2x
(2) f: {1,2} -> {0}
(3) f:{a,b} -> {2,4,6}이며 f(a) = 2, f(b) = 6
(4) f: z->z이고, f(x) = x+1
(1) 집합 A = {a,b,c}일때, 다음의 관계가 단사, 전사, 전단사 함수인지 판별, 함수이면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시오
{(a,a), (b,b), (c,c)}
a -> a
b -> b
c -> c
단사 O (x가 다를때 y 다른값)
전사 O (공변 == 치역)
전단사 O
정의역 == 공변역 == 치역 == {a,b,c}
(2) X = {1,2,3}에서 Y = {a,b,c}로의 함수가 단사, 전사, 전단사 함수인지를 판별해라.
f = {(1,a), (2,c), (3,b)}
단사 O
전사 O (공변 == 치역)
전단사 O
(3) X = {1,2,3}에서 Y = {a,b,c}로의 함수가 단사, 전사, 전단사 함수인지를 판별하고, 함수이면 정의역, 공변역, 치역을 구하시오.
f = {(1,a), (2,c), (3,b}
단사 O
전사 O
전반사 O
정의역 == {1,2,3}
공변역 == 치역 == {a,b,c}
g * f = {(a,c)|a∈A, b∈B, c∈C, f(a)=b, g(b)=c}
두 함수 f와 g의 합성함수 g f는 A의 모든 원소 a에 대하여
∀a ∈ A, (g f)(a) = g(f(a))
함수 f,g와 합성합수 g * f에 대한 관계
h = g * f
1->8
2->9
3->7
4->9
f g = f(x²-1) = x²+2
g f = g(x+3) = x²+6x+8
h (g f) = (h g) f
∀a∈A, IA(a) = a이다.
x | x³ |
---|---|
-1 | -1 |
0 | 0 |
1 | 1 |
자기 자신으로의 관계, 즉 f는 항등함수이다.
∀a ∈ A, ∀b ∈ B, f(a) = b -> f역함수 (b) = a
fA(x) = 0 (if x !∈ A), 1 (if x ∈ A)
라이브러리 /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함수
연습문제
1) 함수 f, g, h : Z -> Z, f(x) = x-1, g(x) = 3x,
h(x) = 0 (x가 짝수일때), = 1 (x가 홀수일때) 일 경우 다음을 구하시오.
가) f * g
3x - 1
나) g * h
0 (x가 짝수일때)
3 (x가 홀수일때)
2) 함수 f: {1,2,3} -> {a,b,c}이고 f(1)=b, f(2)=c, f(3)=a 일 경우 f의 역함수는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역함수를 구하시오
전단사 함수일 때만 역함수가 존재한다)
3) 세 집합 A=B=C=R, f:A->B, g:B->C이며 f(a) = a²-2, g(b) = 2b+1 이라고 정의할 때 다음 합성함수를 구하시오.
가) g * f(-1)
g(-1) = -1
나) f * g(-1)
f(-1) = -1
다) (g * f) g(x)
= g(4b²+4b-1) = 8b²+8b-1
라) (g f) f(x)
= g f(f(x)) = g(a⁴-4a²+2) = 2a⁴-8a²+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