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변수의 쌍 (3)
(1) Fx,y(x,y)가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누적분포함수 (joint CDF)일 때, X의 한계확률밀도함수(marginal PDF)는 fx(x) = d/dx [lim y->∞ Fx,y(x,y)]이다.
y -> ∞
Fx,y(x,y) = Fx,y(x,∞) = Fx(x)
d/dx Fx(x) = fx(x)
-> T
(2) Fx,y(x, y)는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누적분포함수 (joint CDF)이고, 상수 x₁, x₂, y₁, y₂는 x₁< x₂, y₁< y₂을 만족할 때, P[x₁ < X <= x₂, y₁ < Y <= y₂] = Fx,y(x₂, y₂) - Fx,y(x₁, y₁)이다.
-> F
Fx(x) = A - B (하나의 값일 때는 양쪽 끝값으로 되지만)
(x, y) 두개의 값이면 양쪽 끝값만으로는 안된다.
(복습) 모멘트 (moment)
확률변수 X의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평균, 분산)와 관련된 정보
우리는 기대값과 분산을 구하기 위한 용도로 학습 (n = 1, 2) : E[X¹], E[X²]
두 확률변수를 생각할 때, 모멘트? 결합모멘트 (joint moment)
두 확률변수의 결합 모멘트를 공부하기에 앞서...
Y = g(x)일때, Y의 기대값? (확률변수함수의 기대값)
E[g(x)] = ∫-∞ to +∞ g(x) fx(x) dx
1) "두 확률변수 함수"의 기대값 : Z = g(X,Y)
2) 두 확률변수의 결합모멘트
" 두 확률변수함수"의 기대값
E[g(X, Y)] = ∫-∞ to +∞ ∫-∞ to +∞ g(x,y) fx,y(x,y) dx dy
두 확률변수의 결합모멘트 (joint moment)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성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n = m = 1, E[XY]는 X, Y의 선형(linear) 관련성에 관한 척도
선형관련성 = x가 큰 값일 때 Y도 큰 값일 확률이 높냐, 작냐
단일확률변수와 비슷하게 단순한 절대수치보다 상대적 수치가 필요
공분산 (covariance) -> 절대
cov[X, Y] = E[(X - mx) (Y - mx) = E[XY] - E[X] * E[Y]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독립 -> fx,y(x,y) = fx(x) * fy(y)
cov(X, Y) = E[XY] - E[X] * E[Y]
두 확률변수의 결합 모멘트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성 관련척도 요약
E[XY]는 X, Y의 선형(linear) 관련성에 관한 척도 (절대적 수치)
E[XY] = 0이면 X와 Y는 직교 (orthogonal)
E[X^n * Y^m], n = 1, m = 1
-> 선형결합성 (하나가 클 때 다른 하나도 클 확률)
비상관 (uncorreltated) ρx,y = 0과 독립의 관계
(True) 두 확률변수 X, Y가 독립 (independent) -> ρx,y = E[XY] - E[X] * E[Y] = 0
(False) ρx,y = E[XY] - E[X] * E[Y] = 0
≠> 두 확률변수 X, Y가 독립 (independent)
비상관 ≠> 독립 (독립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독립 E[XY] = E[X] E[Y]
직교 E[XY] = 0
비상관 E[XY] - E[X] E[Y] = 0
(a)
X/Y | -1 | 0 | 1 |
---|---|---|---|
-1 | 1/6 | 0 | 1/6 |
0 | 0 | 1/3 | 0 |
1 | 1/6 | 0 | 1/6 |
ρx,y(0, -1) = ρx(0) ρy(-1)
0 != (1/3) (1/3)
-> 독립 X
E[XY] = ∑xy * Px,y(x,y)
= (-1)(-1)(1/6) + ...
= 1/6((-1)(-1) + (-1)(1) + (1)(-1) + (1)(1))
E[XY] = 0
=> 직교 O
cov = E[XY] - E[X]E[Y] = 0
ρx,y = cov(X, Y) / (σx * σy) = 0
=> 상관계수 == 0 (비상관)
(b)
X/Y | -1 | 0 | 1 |
---|---|---|---|
-1 | 1/9 | 1/9 | 1/9 |
0 | 1/9 | 1/9 | 1/9 |
1 | 1/9 | 1/9 | 1/9 |
독립 O
직교 O
상관계수 == 0 (비상관)
결합 가우스 확률 변수
(복습) 가우스(정규) 확률변수의 CDF (확률변수 : X, 평균 : µ, 분산 : σ²)
다양한 평균(µ) / 분산(σ²) 조건 -> 표준정규분포 z 변환해서 생각
결합 가우스 확률변수(Jointly Gaussian random variables)
X ~ N (µx, σx²), Y ~ N(µy, σy²)가 각각 가우스 확률변수
ρx,y : 두 확률변수의 상관계수
(X, Y)의 결합확률밀도함수 (joint PDF)
결합 가우스 확률밀도함수 그래프 1
결합 가우스 확률밀도함수 그래프 2
Joint PDF의 등고선의 장축 (major axis)이 x축과 이루는 각도 (θ)
θ값의 범위에 따라 σ₁(X의 표준편차), σ₂(Y의 표준편차)의 대소관계 비교가능
독립
fx,y(x,y) = fx(x) * fy(y)
요약
1. 두 확률변수의 결합 모멘트
두 확률변수 X, Y을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
공분산, 상관관계의 정의와 의미
결정요소 : 두 확률변수의 각 평균, 분산 및 상관계수
그래프의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