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 및 통계 (10)

이성준·2023년 7월 25일
0

확률변수의 쌍 (3)

  • T/F 확인문제

(1) Fx,y(x,y)가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누적분포함수 (joint CDF)일 때, X의 한계확률밀도함수(marginal PDF)는 fx(x) = d/dx [lim y->∞ Fx,y(x,y)]이다.

y -> ∞
Fx,y(x,y) = Fx,y(x,∞) = Fx(x)

d/dx Fx(x) = fx(x)

-> T

(2) Fx,y(x, y)는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누적분포함수 (joint CDF)이고, 상수 x₁, x₂, y₁, y₂는 x₁< x₂, y₁< y₂을 만족할 때, P[x₁ < X <= x₂, y₁ < Y <= y₂] = Fx,y(x₂, y₂) - Fx,y(x₁, y₁)이다.
-> F

Fx(x) = A - B (하나의 값일 때는 양쪽 끝값으로 되지만)
(x, y) 두개의 값이면 양쪽 끝값만으로는 안된다.


  • (복습) 모멘트 (moment)
    확률변수 X의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평균, 분산)와 관련된 정보

  • 우리는 기대값과 분산을 구하기 위한 용도로 학습 (n = 1, 2) : E[X¹], E[X²]

  • 두 확률변수를 생각할 때, 모멘트? 결합모멘트 (joint moment)


  • 두 확률변수의 결합 모멘트를 공부하기에 앞서...

  • Y = g(x)일때, Y의 기대값? (확률변수함수의 기대값)
    E[g(x)] = ∫-∞ to +∞ g(x) fx(x) dx


  • g(x) = X^n의 형태의 경우가 확률변수의 모멘트
    E[X^n] = ∫(x^n) fx(x) dx

1) "두 확률변수 함수"의 기대값 : Z = g(X,Y)
2) 두 확률변수의 결합모멘트

  • 단일 확률변수에서 확률변수의 기대값 개념을 확장
    E[Z] = E[g(x, y)]
    = ∫∫g(x, y) fx,y(x,y) dx dy

" 두 확률변수함수"의 기대값
E[g(X, Y)] = ∫-∞ to +∞ ∫-∞ to +∞ g(x,y) fx,y(x,y) dx dy

  • 단일확률변수에서 확률변수함수의 기대값 개념을 확장

예제 5-15 :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확률밀도함수 (joint PDF)가 fx,y(x,y)일 때, Z = X + Y의 기대값을 구하여라

  • 우리가 알고있는 E[X + Y] = E[X] + E[Y]가 나오는지 확인

  • 두 확률변수의 결합모멘트 (joint moment)

  •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성에 관한 정보

  • 예를 들어 n = m = 1, E[XY]는 X, Y의 선형(linear) 관련성에 관한 척도
    선형관련성 = x가 큰 값일 때 Y도 큰 값일 확률이 높냐, 작냐

  • 단일확률변수와 비슷하게 단순한 절대수치보다 상대적 수치가 필요

  • 공분산 (covariance) -> 절대
    cov[X, Y] = E[(X - mx) (Y - mx) = E[XY] - E[X] * E[Y]

  •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

예제 5-16 : 두 확률변수 X, Y가 독립일 때 cov(X, Y)를 구하여라

독립 -> fx,y(x,y) = fx(x) * fy(y)

cov(X, Y) = E[XY] - E[X] * E[Y]

예제 5-17 : 두 확률변수 X, Y가 결합확률밀도함수 (joint PDF)가 다음과 같을 때, 독립, 비상관(uncorrelated) 여부를 판단하시오.


두 확률변수의 결합 모멘트

  •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성 관련척도 요약

  • E[XY]는 X, Y의 선형(linear) 관련성에 관한 척도 (절대적 수치)

  • E[XY] = 0이면 X와 Y는 직교 (orthogonal)

E[X^n * Y^m], n = 1, m = 1
-> 선형결합성 (하나가 클 때 다른 하나도 클 확률)


비상관 (uncorreltated) ρx,y = 0과 독립의 관계

(True) 두 확률변수 X, Y가 독립 (independent) -> ρx,y = E[XY] - E[X] * E[Y] = 0

(False) ρx,y = E[XY] - E[X] * E[Y] = 0
≠> 두 확률변수 X, Y가 독립 (independent)

비상관 ≠> 독립 (독립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예제 5-18 : 확률변의 쌍 (X, Y)가 다음과 같은 결합확률질량함수를 갖을 때,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고 독립, 직교, 비상관 여부를 구해라

독립 E[XY] = E[X] E[Y]
직교 E[XY] = 0
비상관 E[XY] - E[X]
E[Y] = 0

(a)

X/Y-101
-11/601/6
001/30
11/601/6

ρx,y(0, -1) = ρx(0) ρy(-1)
0 != (1/3)
(1/3)
-> 독립 X

E[XY] = ∑xy * Px,y(x,y)
= (-1)(-1)(1/6) + ...
= 1/6((-1)(-1) + (-1)(1) + (1)(-1) + (1)(1))
E[XY] = 0
=> 직교 O

cov = E[XY] - E[X]E[Y] = 0
ρx,y = cov(X, Y) / (σx * σy) = 0
=> 상관계수 == 0 (비상관)


(b)

X/Y-101
-11/91/91/9
01/91/91/9
11/91/91/9

독립 O
직교 O
상관계수 == 0 (비상관)


결합 가우스 확률 변수

  • (복습) 가우스 (정규) 확률변수

  • (복습) 가우스(정규) 확률변수의 CDF (확률변수 : X, 평균 : µ, 분산 : σ²)

  • 다양한 평균(µ) / 분산(σ²) 조건 -> 표준정규분포 z 변환해서 생각

결합 가우스 확률변수(Jointly Gaussian random variables)

  • X ~ N (µx, σx²), Y ~ N(µy, σy²)가 각각 가우스 확률변수

  • ρx,y : 두 확률변수의 상관계수

  • (X, Y)의 결합확률밀도함수 (joint PDF)


결합 가우스 확률밀도함수 그래프 1

결합 가우스 확률밀도함수 그래프 2

  • Joint PDF의 등고선의 장축 (major axis)이 x축과 이루는 각도 (θ)

  • θ값의 범위에 따라 σ₁(X의 표준편차), σ₂(Y의 표준편차)의 대소관계 비교가능


예제 5-19 : 두 확률변수 X ~ N(µx, σ²x), Y ~ N(µy, σ²y)는 각각 가우스 확률변수이다. X, Y는 독립일 때, (X, Y)의 결합확률밀도함수(Joint PDF)를 구하여라.

독립
fx,y(x,y) = fx(x) * fy(y)

예제 5-20 : (잡음에서의 신호추정) 확률변수 X와 W은 어떤 통신시스템의 송신신호와 수신잡음을 나타내는 서로 독립인 가우스 확률변수이다. 즉, X~N (0, σ²x), W~N (0, σ²w)이다. 이 통신 시스템의 수신신호 Y = X + W 일때, Y의 평균, 분산, (X, Y)의 공분산을 구하시오.


요약
1. 두 확률변수의 결합 모멘트

  • 두 확률변수 X, Y을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

  • 공분산, 상관관계의 정의와 의미

  1. 결합 가우스 확률변수
  • 결정요소 : 두 확률변수의 각 평균, 분산 및 상관계수

  • 그래프의 형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