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변수의 쌍 (2)
복습
결합누적분포함수 (joint CDF)
결합확률밀도함수 (joint PDF)
두확률변수의 독립
요약
PDF는 (셀수있는 경우). 특정한 지점에서의 확률 의미 있음,
PMF는 (셀수없는 경우). 특정한 지점에서의 확률은 의미없고 구간에서의 확률이 의미가 있다.
(2) Px,y(x,y)는 치역(range)이 Sx = Sy = {1,2,...,10}인 두 이산확률변수 X, Y의 결합확률밀도함수(joint PMF)이다. Px(x)와 Py(y)를 두 확률변수의 한계확률밀도함수(marginal PMF)라고 정의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결합누적분포함수 (joint CDF)
확률변수의 순서쌍 (X, Y) 특성 파악하기
하나의 확률변수에서 P[X <= x]를 이용 (1차원) -> Fx(x) = P[X <= x]
순서쌍 (X, Y)가 특정 (2차원)범위에 존재할 확률을 이용 : P[X <= x, Y <=y]
누적분포함수(CDF) : Fx(x) = P[X <= x]
결합누적합수(joint CDF) : Fx,y(x, y) = P[X <= x, Y <= y]
(1) 0 <= Fx(x) <= 1
(2) lim x to ∞ Fx(x) = 1
(3) lim x to -∞ Fx(x) = 0
(4) a < b이면 Fx(a) <= Fx(b)
(5) P[a < X <= b] = Fx(b) - Fx(a)
(6) P[X > x] = 1 - Fx(x)
(1) 0 <= Fx,y(x, y) <= 1
(2) x₁<= x₂ 그리고 y₁<= y₂이면 Fx,y(x1, y1) <= Fx,y(x2, y2)
(3) Fx,y(x, -∞) = 0 -> (-∞가면 공집합이 된다)
Fx,y(-∞, y) = 0
Fx,y(∞, ∞) = 1 -> P[X <= ∞, y <= ∞] = 즉 모든 영역
(중요) (4) Fx,y(x₁, y₁) - Fx,y(x₂, y₁) - Fx,y(x₁, y₂) + Fx,y(x₁ , y₁)
한계누적분포함수 (marginal CDF)
결합누적분포함수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확률변수의 전체 범위를 계산
Px(x) = Fx,y(x, ∞) = P[{X <= x} ∩ {Y < ∞}] = P[X <= x]
-> P[Y < ∞] = 1
Py(y) = Fx,y(∞, y) = P[{X < ∞} ∩ {Y <= y} = P[Y <= y]
(일반적으로) 가능(O) : 결합누적분포함수(joint CDF) -> 한계누적분포함수(marginal CDF)
(일반적으로) 불가능(X) : 한계누적분포함수(marginal CDF) -> 결합누적분포함수(joint CDF)
-> 결합이 정보가 더 많다.
joint PMF
X/Y | 0 | 1 | 2 |
---|---|---|---|
0 | 1/6 | 0 | 1/6 |
1 | 0 | 1/3 | 0 |
2 | 1/6 | 0 | 1/6 |
(1) X, Y의 한계누적분포함수(marginal CDF)
Fx(x) = Fx,y(x, ∞) = (1 - e^(-αx))
-> y = ∞일 때 e^(-By) = 0)
Fy(y) = Fx,y(∞, y) = (1 - e^(-βy))
(2) 각 사건의 확률값 : A = {X <= 1, Y <= 1}, B = {X > 1, Y > 1}, C = {1 < X <= 2, 2 < Y <= 5}
P[A] = Fx,y(1,1) = (1 - e^(-α)) * (1 - e^(-β))
P[B] = 1 - Fx(1) - Fy(1) + Fx,y(1,1)
P[C] = Fx,y(2, 5) - Fx,y(2, 2) - Fx,y(1,5) + Fx,y(1,2)
(1) R, Θ의 결합누적분포함수(joint CDF)
(2) R, Θ의 한계누적분포함수(marginal CDF)
(3) 화살이 1사분면이면서 반경이 0.5 R0보다 큰 구역에 위치할 확률
확률밀도함수(PDF): 확률변수 X의 누적분포함수(CDF) Fx(x)의 미분
fx(x) = d/dx Fx(x)
결합확률밀도함수 (joint CDF) : 확률변수순서쌍(X, Y)의 결합누적분포함수(joint CDF)
-> Fx,y(x, y)의 미분
결합확률밀도함수(joint PDF)의 특성 : 확률변수의 순서쌍 (X, Y)
한계확률밀도함수 (marginal PDF)
-> 결합확률밀도함수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확률변수의 전체 범위를 계산
좋은 글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