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최적화 - Static Batching 사용법

김보근·2024년 10월 4일
0

Unity

목록 보기
90/113
post-thumbnail

TIL: Unity 최적화 - Static Batching 사용법

오늘은 Unity에서 최적화를 위해 Static Batching을 적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봤다. Static Batching은 정적 오브젝트를 하나로 묶어 드로우 콜을 최소화하여 렌더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드로우 콜은 말 그대로 GPU가 한 번에 그릴 수 있는 오브젝트의 수를 말하는데, 이를 줄이면 게임의 퍼포먼스가 개선된다.

적용 방법

오브젝트 Static으로 설정: 먼저, Scene에 있는 오브젝트를 Static으로 설정해준다. Inspector 창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한 후, 오른쪽 상단의 'Static'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해당 오브젝트가 Static Batching 대상이 된다.

Static Batching 활성화: Unity에서 Static Batching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 메뉴로 들어가서 'Other Settings' 탭에 있는 'Static Batching' 옵션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주의할 점

Static Batching은 정적 오브젝트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동적으로 움직이는 오브젝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Static Batching이 적용된 오브젝트는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느낀점

이 방식은 특히 내가 지금 작업 중인 대규모 맵에서 많은 오브젝트가 동시에 렌더링되는 상황에서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앞으로 더 깊이 있는 최적화 기법들을 공부하고 싶다!

profile
게임개발자꿈나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