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04[저항회로의 해석]

용권순·2021년 4월 19일
0

회로 이론

목록 보기
4/5

저항회로의 해석방법(Methods of Analysis of Resistive Circuits)

  • Ground가 있을때, 노드의 전류와 전압을 구하는 방법이다. 노드를 +로 잡고, 그라운드를 -로 잡아서, 노드의 전압을 설정하여 다른 전압을 구하는 방법이다.

    위의 그림에서 a를 먼저 보면, 그라운드와 직접 연결된 a노드의 전압은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존재하는 R2R_2의 전압과 같다. 마찬가지로, b노드에 대해서 +로 기준을 잡고, 그라운드를 -로 기준을 잡으면 , b노드의 전압은vbv_b이다.
    이제 R1R_1의 전압이 a->b로 흘러간다고 할때, R1R_1의 전압 v1=vavbv_1 = v_a - v_b를 만족한다.

전류원과 전압원을 포함하는 회로의 마디전압해석

  • 위 그림에서 a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vsv_s라는 독립전압원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노드a의 전압va=vsv_a = v_s를 만족한다. 이처럼 그라운드가 포함된 회로에서 독립전압원이 존재하면 쉽게 노드의 전압을 구할 수 있다.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전압원이 존재하는 경우 말고, 노드와 노드사이에 전압원이 존재한는 경우가 있는데,

위의 그림처럼 vav_avbv_b사이에 vsv_s가 존재하면, vs=vavbv_s = v_a - v_b라는 식이 성립한다. 이를 풀어쓰면, va=vs+vbv_a = v_s+ v_bvav_a를 이미 알고있는 vsv_s로 표현하여 식을 풀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독립원 vsv_s를 포함한 두 노드를 슈퍼노드라고 부르며, 슈퍼노드를 하나의 노드로 보아서 KCL을 적용해야한다.
R1R_1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전류를 i1i_1,R2R_2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전류를 i2i_2라고 하면, 슈퍼노드는 i1+i2=isi_1+i_2 = i_s라는 KCL을 성립한다.


Mesh Current Analysis with Independent Voltage Sources (독립 전압원을 포함한 회로의 메시전류 해석)

가장 작은 loop를 이용하여, KVL을 사용하는 방법

  • 다음 그림에서 M1,M2,M3,M4M_1, M_2, M_3, M_4가 Mesh이다. 즉 Mesh란
    회로에서 가장 작은 loop를 의미하며 ,본 회로에서 Mesh는 총 4개가 존재한다.
  • mesh current: 메시를 따라서 흐르는 전류를 의미한다. 관례상 시계방향으로해석한다.

※ 아래의 예시를 보면서 이해를 해보자.

  • mesh 우선 i1,i2i_1, i_2가 존재한다고 헀을 때, i1i_1mesh에 KVL을 적용해서 mesh current equation을 구할 수 있다.
  • case mesh 1: vs+R1i1+R3(i1i2)=0-v_s+ R_1i_1+ R_3(i_1 - i_2) = 0 ,
    vs=(R1+R3)i1R3i2\therefore v_s = (R_1+R_3) i_1- R_3 i_2 이렇게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R3R_3에서 두개의 전류가 흐르고 있으므로, i1,i2i_1, i_2로 표시를 해야한다. 위의 회로에선 i1i_1를 기준으로 식을 세우고 있기 때문에, i1i_1을 기준으로 ,i2i_2i1i_1의 반대방향이므로 -를 붙여준다.
  • case: mesh2: mesh 1에서 한 것처럼, 식을 세워주는데, 이번엔 i2i_2를 기준으로 R3R_3의 전압을 구해보면
    R2i2+R3(i2i1)=0R_2i_2+R_3(i_2-i_1)=0
    (R2+R3)i2=R3i1\therefore (R_2+R_3)i_2 = R_3i_1

N개의 mesh가 있으면 N개의 독립방정식이 얻어지고, 이를 연립하면 회로를 완전히 해석할 수 있다.

Mesh Current Analysis with Current and Voltage Source Current source(Voltage Source를 포함한 회로의 Mesh current Analysis)

  • Current Source가 하나의 mesh에 포함된 경우 ,그 mesh의 current는 전류원이 결정한다.
  • Current source가 인접한 두 mesh에 공통으로 포함된 경우: 두 mesh를 묶어 하나의 supermesh로 두어 방정식을 세움.

case1:

  • 본 회로에서 i2i_2mesh에서 isi_s라는 독립 전류원이 존재하므로,
    is=i2i_s = -i_2로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다.

case2:

  • 본 회로에서 is=i2i1i_s= i_2 - i_1임을 볼 수 있다. 이때 isi_s는 독립 전류원이므로, 나머지 mesh에 대해서 연립방정식을 세우면 회로를 해석할 수 있다.

case 2(심화/super_mesh를 사용)

  • 두 mesh사이에 독립 전류원이 존재할 경우 ,하나의 super mesh로 보고 해결 할 수 있다. 다만 주의할 점은 두개의 mesh를 하나의 super mesh로 본다고 해서 같은 전류가 흐르는 것은 아니다.
  1. 우선 i1i2=1.5Ai_1-i_2 = 1.5A임을 확일할 수 있다.
  2. super_mesh에 KVL을 적용, 12+9i1+3i2+6i2=0-12 + 9i_1+ 3i_2+ 6i_2=0이 성립한다.
  3. 위에 식 i1i2=1.5Ai_1-i_2 = 1.5A를 이용하여 연립하면, i1=1.4167A,i2=83.3mAi_1 = 1.4167 A , i_2 = -83.3mA

Mesh Current Analysis with Dependent Sources

종속 전류원이 존재할때, 전압을 구하는 방법

  • mesh 1은 두 단자가 직렬연결되어있으므로, 쉽게 구할 수 있다.
  • mesh 2에서 i2=5iai_2 = -5i_a임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다.
    결국 위에서의 식과 다르지 않음
profile
수학계산학부 석사생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