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지도 serve해주는게 서버, 그리고 그 서비스를 받는 컴퓨터가 손님, 즉 클라이언트가 된다.
예를들어 한 맛집 앱을 담당하는 컴퓨터가 있다고하면, 이 컴퓨터는 그 앱이 깔린 폰들에 맛집들의 정보를 전송해준다. 폰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니까 서버인 것이다.
지리정보가 필요하면 네이버 지도 서버에 요청해서 지리정보를 받아온다. 이때는 이 앱이 클라이언트가 되는 셈.
흔히 우리가 ‘서버’로 알고 있는 그 컴퓨터들은 IDC (Internet Data Center) 인터넷 데이터 센터라는 시설에 있다고 한다.
2006년 정식으로 서비스를 출시해, EC2, S3(Simple Storage Service)등을 제공하기 시작.
현재는 전체 클라우드 사용자 중 4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지고 전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로 자리잡았다.
회사가 자사의 시설,혹은 IDC에 자체적으로 컴퓨터 서버를 두고 운용하는 ON-Premise 방식.
AWS, Azure, 구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같은 대기업 브랜드를 제공하는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렇게 두가지 방식이 있는데 클라우드는 자사의 거대한 데이터센터안에 서로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들을 운용하고있다. 전통적인 방식처럼 사용자에게 컴퓨터를 하나씩 통째로 배당하는게 아니라 필요한만큼 떼어서 준다.
가상 컴퓨팅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면 물리적 서버 한대에 가상의 컴퓨터 여러대를 띄울 수 있다고 한다. 컴퓨터의 물리적 자원을, 필요에 따라 분할해서 쓸 수 있는것이다.
사용자는 원격 접속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마치 컴퓨터 한대를 쓰는 것 처럼 인터넷으로 연결된 이 가상 컴퓨터를 사용하는것이다. 필요한 컴퓨터 자원이 많지 않거나, 수시로 변화하는 회사나 기관, 혹은 개인에게 클라우드는 아주 매력적인 선택이 될텐데, 세일 시즌이나 이벤트 기간에 유난히 접속량이 폭주하는 앱의 경우 클라우드에서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 자원을 늘려주거나 줄여줄수 있다고 한다.
시간과 접속량에 따른 종량제로 운영되니까 필요한 만큼 쓰고 그 금액만큼만 지불가능한 것이 큰 장점이다.
보안그룹(Security Group)
EC2 및 여러 서비스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할때, 해킹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통신에 대해 통제하는 것을 방화벽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러한 부분을 기존에는 장비 혹은 서버에서 소프트웨어로 통제했는데, AWS에서는 보한 그룹이라는 이름으로 제공하고 있다.
RDS
Route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