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스 해킹에서 데이터 분석과 해석의 중요성을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 용어와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 실제 서비스 지표 분석 사례 조사를 통해 기획한 서비스와 비교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ICE 점수 모델은 영향력(Impact), 자신감(Confidence), 용이성(Ease) 세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어떤 아이디어부터 실행할 지 결정하는데 유용하며, 그로스 해킹 팀이나 제품 팀에서 널리 활용됨
1️⃣ 아이디어 목록화 : 그로스 해킹 또는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두 나열
2️⃣ 개별 평가 : 각 아이디어에 대해 팀원들이나 담당자가 Impact, Confidence, Ease 점수를 매김
3️⃣ 점수 계산 : 각 아이디어의 ICE 점수를 계산
4️⃣ 우선순위 결정 : ICE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아이디어 목록을 정렬
5️⃣ 실행 및 검토 : 우선순위에 따라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
∙ 단순함 : 이해하고 적용하기 매우 쉽고 빠름
∙ 구조화 : 주관적일 수 있는 아이디어 평가에 일정한 구조를 제공
∙ 다각적 고려 : 단순히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영향력, 자신감, 실행 용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
∙ 의사소통 촉진 : 팀원들과 아이디어 우선순위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도움
∙ 주관성 : 각 요소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주관적일 수 있으며, 평가자마다 점수가 다를 수 있음
∙ 정교함 부족 : 아이디어가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규모를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음
∙ 과신 방지 : Confidence 점수를 통해 무모한 아이디어에 대한 과신을 어느정도 걸러낼 수 있지만 편향이 개입될 수 있음
이전에 정리했던 그로스해킹에 대한 관련 개념 이해와 더불어 용어들을 살펴보면서 실무에서 사용하게 될 용어들에 미리 익숙해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것 같고 ICE Frame Work를 통해 내가 기획하는 서비스의 필요성을 한 번 더 체크하는 것과 더불어 비슷한 서비스의 사례를 확인하고 비교해봄으로써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