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부트캠프] Growth Hacking 핵심 : 데이터와 지표 심층 분석

채연·2025년 4월 24일
0

디자인부트캠프

목록 보기
36/51
post-thumbnail

👋🏻 서론

그로스 해킹에서 데이터 분석과 해석의 중요성을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 용어와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 실제 서비스 지표 분석 사례 조사를 통해 기획한 서비스와 비교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Growth Hacking 용어&핵심 개념

🧊 ICE Frame Work

ICE 점수 모델은 영향력(Impact), 자신감(Confidence), 용이성(Ease) 세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아이디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어떤 아이디어부터 실행할 지 결정하는데 유용하며, 그로스 해킹 팀이나 제품 팀에서 널리 활용됨

사용절차

1️⃣ 아이디어 목록화 : 그로스 해킹 또는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두 나열
2️⃣ 개별 평가 : 각 아이디어에 대해 팀원들이나 담당자가 Impact, Confidence, Ease 점수를 매김
3️⃣ 점수 계산 : 각 아이디어의 ICE 점수를 계산
4️⃣ 우선순위 결정 : ICE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아이디어 목록을 정렬
5️⃣ 실행 및 검토 : 우선순위에 따라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

장점

단순함 : 이해하고 적용하기 매우 쉽고 빠름
구조화 : 주관적일 수 있는 아이디어 평가에 일정한 구조를 제공
다각적 고려 : 단순히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영향력, 자신감, 실행 용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
의사소통 촉진 : 팀원들과 아이디어 우선순위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도움

단점

주관성 : 각 요소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주관적일 수 있으며, 평가자마다 점수가 다를 수 있음
정교함 부족 : 아이디어가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규모를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음
과신 방지 : Confidence 점수를 통해 무모한 아이디어에 대한 과신을 어느정도 걸러낼 수 있지만 편향이 개입될 수 있음

🔎 사례조사

🧩 비교분석

👀 모아보기

<Notion Link : 그로스해킹 이해하기&비교분석>

✏️ 수업후기

이전에 정리했던 그로스해킹에 대한 관련 개념 이해와 더불어 용어들을 살펴보면서 실무에서 사용하게 될 용어들에 미리 익숙해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것 같고 ICE Frame Work를 통해 내가 기획하는 서비스의 필요성을 한 번 더 체크하는 것과 더불어 비슷한 서비스의 사례를 확인하고 비교해봄으로써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