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LAN(1)

Minuuu·2023년 4월 4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3/11

LAN의 개념, 분류 방식, 구성 장비를 학습합니다
LAN 표준안인 IEEE 802.3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해 다루겠습니다.

LAN(Local Area Network)

제한된 거리에서 다수의 독립된 컴퓨터 기기들이 상호 간에 통신 시스템
집, 사무실, 빌딩, 공장 등과 같이 제한된 지역에서 통신하는 시스템(근거리 통신망)
PAN, LAN, MAN, WAN ...

LAN의 분류

1. 토폴로지에 의한 분류

1. 성형(star)


허브라고 불리는 중앙 전송 제어 장치와 점대점 링크 형태
한 호스트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없다, 확장에 용이, 고장 발견이 쉽다는 장점
허브 고장 시 네트워크 동작 불가, 호스트의 설치 시 거리에 제한 등의 단점

2. 버스(Bus)형

백본 케이블에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들을 연결하는 형태

장점 : 설치하기 용이, 노드의 고장에 영향이 없다
단점 : 버스 케이블 결함 시 전체 노드 장애, 호스트 수 증가 시 처리 능력 감소


3. 트리(Tree)형

트리에 연결된 노드는 1차허브에 연결되어 있지만 모든 장치가 1차허브에 연결x
2차허브를 연결하는 구조로 하여 구성함

장점 : 2차 허브로 네트워크 분리 및 우선순위 부여, 허브간의 중계로 신호 거리 증가
단점 : 상위 전송 제어장치가 다운되면 하위 네트워크에 장애

4. 링(Ring)형

닫힌 루프 형태로 각 노드가 자신의 양쪽 호스트와 점재점으로 연결된 형태

장점 : 노드의 수가 늘어나도 네트워크 성능에는 별로 영향이 없다
단점 : 단방향 전송이기에 링에 결함 시 전체 네트워크 장애(이중링으로 개선)


2. 전송 매체에 따른 분류

Fiber Optic Cable(아날로그 신호)

빛으로 전송되는 방식으로서 전자기파의 간섭과 무관
다른 케이블에서 지원할 수 없는 높은 속도로 제공

Twisted Pair Cable(디지털 신호)

두 선을 꼬아서 만든 케이블로 전자파 장애 억제 능력이 뛰어나며 가격 용이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비차폐 트위스티드 페어)

기존의 전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매체, 설치가 용이

Shielded Twisted Pair Cable(차폐 트위스티드 페어)

UTP의 간섭과 잡음의 영향을 줄였으나 비싸고 작업하기 어려움
신호간섭이 많은 공장이나 야외, 또는 빠른 통신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

Coaxial Cable

트위스티드 페어보다 우수한 주파수 특성을 가짐.
높은 주파수와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

BaseBand(기저대역) 전송 방식의 동축 케이블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
광대역 전송방식에 비해 가격이 쌈
but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다중 채널 사용어려움

BroadBand(광대역) 전송 방식의 동축 케이블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하며, 전송 시에는 해당 대역폭을 할당해 사용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통해 독립적인 채널을 가져 음성, 영상 등을 동시에 전송
기저대역 방식보다 장거리 전송 능력이 우수해 여러 개의 빌딩간에서 많이 사용
아날로그 신호는 잡음과 감쇠에 의한 데이터 신호가 디지털보다 약함


LAN을 구성하기 위한 장비

1. Repeater

  • OSI 1계층인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 동일 LAN상에서 거리의 연장이나 접속 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
  • 신호가 훼손되는 것을 막기위해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함

2. Hub

허브는 단순히 수신한 신호를 정확히 재생해 연결된 모든 다른쪽으로 내보내는 장치

3. Bridge

복수의 LAN을 연결하기위한 장비(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드는장비) (OSI 2 Layer)

4. Router


IP 네트워크들 간을 연결
IP 네트워크와 인터넷 간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 (OSI 3Layer)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


LAN의 개요와 LAN의 구성 장비, LAN의 분류를 배웠다
LAN의 분류를 토폴로지와 전송매체에 따른 분류로 나눠서 학습하였는데
사실 접근 제어방식에 따른 분류가 하나 더 있다.
이는 IEEE 802라는 개념과 함께 다음 포스팅에서 함께 다루겠다.

profile
꾸준히 한걸음씩 나아가려고 하는 학부생입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