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Minuuu·2023년 3월 27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1/11
post-thumbnail

글의 목적

  1. CS 스터디 발표 진행을 위한 정리
  2. 처음 보더라도 이해하기 쉽도록 최대한 어려운 용어 지양
  3.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알고 프로토콜의 구성요소와 기능을 꼭 기억하자


1. 네트워크란?

Net + Work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해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 할 수 있는 것


2. 통신이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기기들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행위

즉, 네트워크를 통해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3. 통신 프로토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서로 대화를 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언어라는 표준 방법을 사용한다

정보기기(컴퓨터)와 정보기기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서로가 정한 다양한 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약속 ex) 전달방식, 통신방식, 자료의 형식, 전송속도 등
프로토콜 ex) TCP, IP, ARP, HTTP etc...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1. 구문

  • 데이터(전송할 정보)가 어떠한 구조와 순서로 표현되는지 나타냄
  •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레벨(Signal Level) 등을 나타냄
  • ex) 어떤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처음 8비트가 송신지 주소인지 or 상대방 주소인지

2. 의미(Semantics)

  • 구문에 의해 정해진 데이터 형식과 구조의 의미.
  • 즉,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 ex) 프로토콜 주소 부분 데이터는 메시지 전달 경로를 나타냄

3. 타이밍(Timing)

  • 두 객체간의 통신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시지의 전송 시간 및 전송 순서 등의 특성
  • ex) 송신자가 데이터를 10mbps의 속도 전송,
    수신자가 1mbps의 속도로 수신 -> 데이터 유실 발생

4. 프로토콜의 기능

1. 단편화와 재결합(Fragmentation and Reassembly)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응용 개체에서 이것을 연속적인 비트스트림으로 보낸다
하위 계층에서는 이 데이터를 임의의 작은 블록으로 잘라내는 것을 단편화
임의의 크기의 데이터는 일정한 데이터 단위인 '패킷'으로 나뉜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이 재결합

비트스트림 : 0과 1로 구성된 데이터의 흐름 ex) 0101110010

2.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한 개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두가지
1. 연결형 데이터 전송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논리적인 연결을 맺은 후 데이터 전송 방식
2. 비연결형 데이터 전송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논리적인 연결 없이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이러한 연결의 설정, 해제,조정기능을 총칭해 연결제어라고 함

3. 흐름제어(Flow Control)

송수신 개체 간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

4. 오류제어(Error Control)

정보 전송 시 채널이나 네트워크 요소의 불안정성으로 데이터나 제어정보 파손 시
이를 처리하는 기법
대부분 프레임의 순서를 검사해 오류를 찾고 PDU를 재전송하는 형태
PDU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data, packet, segment...)

5. 동기화(Synchronization)

프로토콜 개체 사이에 정보 송수신할 때 초기화상태, 종료 상태 등의 동작 단계를 맞춤
정보의 정확한 전송을 위해서는 동기화 과정이 필수

6. 순서화(Sequencing)

데이터들이 올바른 순서로 전달되기 위한 기능
연결형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


profile
꾸준히 한걸음씩 나아가려고 하는 학부생입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