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우리는 [ 어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계층 ]을 배웠다.
오늘 배울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네트워크 계층과 더불어 중요하다.
링크 계층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눠볼 수 있다.
점대점 링크는 링크의 한쪽 끝에는 송신자가 다른 쪽 끝에는 수신자가 있는 가장 단순한 구조이다.
브로드캐스트란 하나의 공유된 브로드캐스트 채널에 다수의 노드(송신자, 수신자, 라우터)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러 노드가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충돌할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다중 접근 프로토콜(Multiple Access Protocol)을 사용한다.
다중 접근 프로토콜은 3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링크 계층에서는 오류 검출에 어떤 방식이 사용될 까?****
**근거리 네트워크**
링크 계층에서는 IP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MAC주소를 사용한다는 사실은 알고있을것이다.
MAC 주소를 사용해서 목적지를 찾아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MAC주소를 모른다면? 그렇다면 MAC주소는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ARP프로토콜은 IP주소를 통해 MAC주소를 알아낸다. 그 방식을 알아보도록 하자.
여기서 중요한점은, ARP프로토콜은 목적지가 보내는 호스트와 동일한 서브넷에 위치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서브넷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가장 우선적으로 라우터를 목적지로하는 MAC주소를 찾아 라우터로 이동한 다음 목적지가 위치한 서브넷에 도착하는 것이다. 서브넷에 도착한 다음 ARP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더넷**
인터넷이 글로벌 네트워킹에 대한 것이라면, 이더넷은 근거리 네트워킹이다.
이더넷 기술은 네트워크 계층에게 비연결형 서비스(connectionless service)를 제공한다. 비연결형 서비스라는 말은 어댑터 A가 어댑터 B에게 프레임을 보낼때 핸드셰이킹하지 않고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UDP와 유사하고 비신뢰적인 전송을 통해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신뢰적인 전송을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TCP/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오류를 검사하고 신뢰적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스위치와 라우터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계층을 통해 이야기할 수 있다.
스위치는 2계층(링크 계층)의 MAC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하고
라우터는 3계층(네트워크 계층)의 IP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스위치의 역할**
스위치의 기본 역할은 링크 계층 프레임을 수신해서 출력 링크로 포워딩하는 것이다.
스위치는 여과와 포워딩을 제공하는데, 여과는 프레임을 인터페이스로 전달할지 or DROP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포워딩은 프레임이 전송될 인터페이스를 결정하고, 적절한 인터페이스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는 스위치 테이블이 사용된다.
또한, 스위치는 네트워크 관리자나 사용자의 개입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플러그앤플레이(plug-and-play) 장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