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구조의 지식 컴퓨터 구조에서 알아하는 지식은 크게 2가지이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와 컴퓨터의 핵심 부품 4가지이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말 그대로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는
0과 1의 숫자 표현 정보의 단위 컴퓨터는 0과 1으로만 정보를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 0과 1로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를 비트라고 한다. 1비트는 두 가지로 표현이 될 수가 있는데 0과 1 바로 2가지이다. 그러면 2비트는 총 몇개를 표현할 수 있을까? 하나
ㅁㄴㅇㅁㅇㄴ
CPU의 구조 cpu는 제어 장치, 산술/논리연산장치인 ALU, 레지스터로 구성이 되어 있다. ALU ALU는 산술/논리연산장치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계산하는 장치이다. ALU는 레지스터를 통해서 데이터를 받아 드리고 수행할 연산을 알려줄 제어신호를 받아드린다. 받아드
컴퓨터의 성능을 높히기 위해서는 CPU의 성능을 높히는 것이 중요하다. 성능을 높히기 위한 방법이 여러가지 있다.
메모리는 주 기억장치를 말한다. 메모리에는 ROM과 RAM이 있는데 주로 RAM을 지칭하기 때문에 RAM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RAM의 특징과 종류 RAM의 특징 RAM에는 실행할 명령어와 데이터가 저장이 된다. RAM은 전원이 공급이 되지 않으면 저장된 명령어와 데
다양한 보조 기억 장치 하드 디스크 하드 디스크는 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이다. 하드 디스크의 생김새를 보면 플래터, 스핀들, 헤드, 디스크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플래터는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고 동그란 원판으로 되어 있다. 플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 장치 컨트롤러 입출력 장치는 CPU나 메모리보다 다루기가 까다롭다. 입출력 장치에는 종류가 너무 많다. 다양하고 종류가 많기 때문에 이를 규격화하기가 어렵다.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운영체제란 운영체제는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이 되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도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메모리에 적재가 되어야 한다. 운영체제는 특별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커널영역이라는 특별한 곳
프로세스 개요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기 위해서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이 되면 프로세스가 된다. 프로세스 종류 프로세스는 2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있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보는 앞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다. 백그라운드
CPU 스케줄링은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들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CPU 자원을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프로세스마다 우선순위가 있다.이 우선순위가 높을 수록 빨리 처리해야 하는 프로세스이다.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를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CPU작업이 많은 프로세스를 CP
동기화란 실행 중인 여러 프로세스들을 실행 순서와 자원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동기화라고 한다. 동기화의 의미 프로세스 동기화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수행 시기를 맞춘다는 것은 2가지를 의미하는데 실행 순서 제어와 상호 배제를 의미한다
교착상태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각자 가지고 있는 자원을 무작정 기다리면 그 어떤 프로세스도 진행이 될 수 없는 상태를 교착 상태라고 말한다.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는 교착 상태를 이해하는데 아주 좋은 예시이다. 원탁에 책상에 다섯 명의 철학자
연속 메모리 할당 연속 메모리 할당은 프로세스에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스와핑 메모리에 적재가 되어 있는 메모리 중에 오래동안 실행이 되지 않는 프로새스가 있다. 이를 임시로 보조기억 장치로 내보내고 새로 생긴 메모리 공간에 새로운 프로세스를 적재
파일과 디렉토리 파일 파일이란 하드 디스크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이된 관련 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파일에는 이름과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부가 정보가 있는데, 이 부가 정보가 속성 또는 메타데이터이다. 파일 속성 중 파일 유형은 운영체제가 인식하는 파일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