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혁/정리] 편하게 자소서 면접 합격하고 싶다면

se_niii·2024년 2월 8일
0

면접

목록 보기
28/38

☑️ 왜 모든 질문을 역량으로 풀어내려 하시나요?

ex) 성격의 장점을 이야기해야 하는 질문에도 업무적인 강점이나 역량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
: 역량도 중요하지만, 인성적인 부분도 중요하다.

  • 아무리 역량이 뛰어나고 많은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채용이 되는 건 아니다.
  • 역량이 중요한건 맞지만, 중요하기 때문에 모든 질문을 역량으로 풀어내야 한다라는 고정관념은 버리기 !

☑️ 왜 모든 경험을 직무관련 경험으로만 풀어내려 하시나요?

  • 도전 경험, 팀워크 경험, 창의성 경험, 배려 경험들은 사실 직무와 관련된 경험으로 풀어낼 이유가 없다.
  • 물론 직무관련된 경험들로 풀어낼 수 있다면 더 좋을 순 있지만, 무조건 그래야 하는 건 아니다.
  • 평가자는 질문의 의도에 맞는 부분들을 평가하는 것이지, 우리의 경험이 무조건 직무와 관련되어 있다고 좋아하는 건 아니다.

☑️ 왜 모든 경험을 수치화된 성과로만 강조하려 하시나요?

  • 수치화된 성과를 과장되게 표현하면 면접관 입장에서는 부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다.
  • 누가봐도 공신력 있는 공모전, 좋은 기관에서 대외활동 등 전국 단위의 성과를 냈던 객관적 성과/수치화된 성과가 있다면 그걸 이야기하는 것은 물론 좋다.
  • 하지만 !!! 그런 부분들만이 좋은 경험은 아니라는 걸 명심하자
  • 우리가 정성적으로 성과를 낼 수 밖에 없는 경험이 존재한다.
    ex) 아르바이트 열심히 했다고 해서 매출이 급격히 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경험에서 사장님에게 어떠한 평가를 받았다
    : 오히려 더 현실적으로 좋은 경험으로 어필할 수 있다.

☑️ 왜 행동으로만 본인의 모습을 강조하려 하시나요?

  • ex) 직업 윤리 능력을 강조한다면 -> 행동 자체가 뻔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중요한 건 -> 왜 정직을 준수하려고 했는지, 왜 원칙을 지키려고 했는지이다 !
  • 왜(why, 지원자의 생각, 감정)가 중요하다.
  • 때에 따라서 나의 행동과 노력들이 다소 일반적을 수 있지만, 오히려 앞 부분의 생각의 차별화를 통해서 얼마든지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 평가자의 평가 범위

  • 의도
  • 목적
  • 생각
  • 감정




영상 출처
편하게 자소서 면접 합격하고 싶다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