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널한 개발자 TV] 네트워크 기초 이론: 9 - 웹 서비스를 만드신 분
이 글은 널널한 개발자 TV 님의 강의영상을 보고 작성한 글입니다.
1. 웹 서비스 구조
Web?
탄생의 배경: 웹의 창시자 -> 티모시 버너스 리(팀 버너스 리)
IT 역사를 바꾸신 분이다.
CERN 연구원이다.
논문을 읽고, 쓸 때,
참고(Reference)를 단다.
옛날에는 참고 문헌에서 Link 방식이 없었다.
본인이 맨날 밑에 Reference에 (누구누구 url) 이런식의 기능들을 넣는데,
옛날에는 이런 것이 없었다는 것이다.
직접 검색하고 찾아야 했다.
논문은 정말 여러 가지와 연결이 되어있어 찾기가 굉장히 힘들다.(옛날에는)
그래서 논문의 내용들과 참고 문헌들을 구분하려고 뭔가를 개발한다.
문서(Text) + Link 로 확장을 한다.
이렇게 나온 것이 HTML(문서 형식) 이다.
HTML(문서 형식) + 인터넷 연결을 해서 "전달"을 할 생각을 하셨다.
HTTP(Hyper Text Transper Protocol): 문서를 전달하는 프로토콜
HTML + HTTP
이런 것들이 거미줄 같아서 "Web"이라고 명명했다.
2. 프로그램(S/W) 구조

모든 문서 S/W 는, 프로그램 구조는 위와 같은 형식이다.
문서의 데이터가 있는데
이 문서를 다루기 위한, 로직이 있는 s/w 가 있다.
이것을 사람이 활용해야한다.
그래서 s/w는 사람한테 뭔가를 보여줘야하고, 사람은 이런 s/w에 정보를 입력해야한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