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이나 1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더하기 하는 것이 곱하기 하는것보다 더 높은 값을 가지므로 1 이하인경우에는 더하며 2이상인 경우에는 곱하면된다

코드 그대로이다 ! 우선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난 후에 요소들 하나씩 for문을 도는데 if문을 성립하게 되면 result 값을 하나 올려주고 cnt 값을 초기화 시켜주면 된다 !

이 알고리즘은 제일 기본적인 알고리즘으로 시간복잡도로 O(n)을 가진다. n = 1000a = False,False+True(n-1)primes = \[] for i in range(2,n+1): if ai: primes.append(i)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 DFS/BFS > 이 그래프 탐색알고리즘 DFS와BFS를 해결하기 위해서 알고 있어야할 자료구조가 있다. 우선 스택 
그리디 알고리즘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는 것을 반복하여 정렬하는 방법 이런 방식으로.. 쭉 쭉 정렬 된다.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하나씩 골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정렬 방법이다.이런 방식으로 진행된다.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이진 탐색과 순차 탐색이 있다이렇게 중간부터 시작해서 쪼개나가며 찾아나가는 과정이다.탐색범위가 겁나 많을때 단순히 선형탐색으로 하게 된다면 시간초과를 받을 수 있으니 이진탐색을 떠오르자 ! 이와같이 시작점과 끝점의 위치를 바꿔가며 찾아나가는 것이다.아마 bisect..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이르케 매 순간 더 짧은 경로를 찾아낸다 ! 그 자 1을 시작점으로 1부터 시작하고 나머지는 무한대로 테이블에 적어주자 ! 그리고 1과의 연결되어있는 노드들의 거리를 적어두자 ! 그리고 1다음으로 1과 연결된 노드중 제일 ~ 거리가 가까운 노드인 4부터 가서 4와 연

그놈의 디피...시간복잡도가 log(n\*\*3)으로 디따크다..앞서 알아봤던 다익스트라에 비하면 진짜..근데 구현난이도가 쉬워서 n이작을때 사용하면된다.킹갓..제네럴 삼중반복문을 통해서 이를 구현할 수 있다.쿠쿠,,, 시간복잡도 오진당

작은 숫자를 부모노드로 만드는게 관행! 사이클 발생 발견

쭉,,쭉..하면 이렇게 나온다 !

쭉쭉..이런식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