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이슈트래킹

seonja kim·2021년 8월 31일
0

Splint 규정

1. Splint 기준

  • 하나의 Splint는 과제 제출과 과제 발표 일정을 합쳐 7일을 기준으로 한다.
    - 과제 제출 : 과제가 시작하는 월요일 오전 9시부터 금주 금요일 오후 6시
    - 발표 준비 : 금요일 오후 7시부터 일요일 오후 6시

Epic 규정

1. Epic 선정 기준

  • 한 Splint에 주어지는 과제 내부의 Subject 기준으로 선정한다.
  • Subject 기준이 Epic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회의를 통해서 선정한다.

2. Epic 작성 규칙

  • 각 Epic의 주제를 잘 함축하여 summary를 작성하도록 한다.
  • Labels에는 작업에 관련된 모든 부서(팀)를 포함하도록 한다.


3. Epic 내에서 Task 발급

Task 규정

1. Task 선정 규칙

  • Task 단위는 각 부서(팀)의 작업 단위 위주로 각 부서(팀)에서 작성한다.

2. Task 작성 규칙

  • Assignee (담당자), Reporter (보고자), Labels (라벨)은 담당 부서(팀) 기준으로 작성한다.
  • Description (설명)은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하고, 2문장을 넘지 않게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Sub Task 규정

1. Sub Task 선정 규칙

  • Task 하위 기능 단위로 해당 기능을 담당하는 담당자가 작성한다.
    - 예를들어 이슈 트래킹 문서화라는 Task의 Sub Task는 이슈 트래킹 툴 결정, 이슈 트래킹 단계 설정 등 Task가 완성되기 위한 세부 사항을 의미한다.

2. Sub Task 작성 규칙

  • 해당 Sub Task와 관련된 confluence 문서가 있을 경우 첨부하도록 한다.

이슈 진행 과정

1. 진행 과정 표시 규칙

  • To Do : 해당 Splint 내에 해결해야 하는 모든 Task, Sub Task의 시작점이다.
  • In Progress : 현재 해결하고 있는 Task, Sub Task의 진행 중인 상황을 나타낸다.
  • Done : 해당 Task, Sub Task가 완료되었을 때 상황을 나타낸다.

2. 각 Task, Sub Task에 대한 질문

  • 해당 Task, Sub Task 하위 Comments (댓글) 기능을 사용하여 소통하도록 한다.

다른 팀과의 소통 (요청 사항)

1. Request 선정 규칙

  • Task, Sub Task 작업 중 다른 부서(팀)에게 요청 사항이 생길 경우, 팀 내에서 회의를 통해 Request (요청) 사항을 작성한다.
  • Request (요청)은 해당 요청 사항이 발생한 Task의 상위 Epic 내에서 함께 관리된다.

2. Request 작성 규칙

  • 요청 받는 부서(팀)이 이해하기 쉽도록 요청 사항을 정의한다.
  • Assignee는 요청받는 부서(팀)으로 지정한다.
  • Reporter는 요청하는 부서(팀)으로 지정한다.
  • Labels는 요청받는 부서(팀)으로 지정한다.

부가적 사항

1. Bug

1-1. Bug 선정 규칙

  • 버그가 발생한 Task 상위 Epic에 버그가 발생한 Task 번호를 포함하여 이슈를 발행한다.

1-2. Bug 이슈 작성 규칙

  • Bug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한다.
  • Assignee는 Bug 이슈에 연관된 Task 담당자로 지정한다.
  • Reporter는 Bug 이슈 발급자로 지정한다.
  • Labels는 Bug 요청을 받는 부서(팀)으로 지정한다.
  • Priority는 High 또는 Highest로 지정한다.

2. 변경사항

협업 과정에 따라 이슈 트래킹 과정에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회의를 통해 모든 부서(팀)의 합의를 통해 변경하도록 한다.

profile
Adventur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