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309번

신형석·2022년 7월 25일
0

알고리즘 풀이

목록 보기
33/41

문제

왕비를 피해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던 백설공주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난쟁이가 일곱 명이 아닌 아홉 명이었던 것이다.

아홉 명의 난쟁이는 모두 자신이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주인공이라고 주장했다. 뛰어난 수학적 직관력을 가지고 있던 백설공주는, 다행스럽게도 일곱 난쟁이의 키의 합이 100이 됨을 기억해 냈다.

아홉 난쟁이의 키가 주어졌을 때, 백설공주를 도와 일곱 난쟁이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출력

일곱 난쟁이의 키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일곱 난쟁이를 찾을 수 없는 경우는 없다.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을 사용하라고 되어있다. 우선, 이 문제에 접근할 때 생각해봐야 하는 것이 있다.

내가 이 문제를 처음 접했을 때, 7명의 키를 모두 더해서 100을 맞추는 코드를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생각을 조금만 비틀어보자. 일곱 난쟁이의 키가 정확히 100이고, 못 찾는 경우가 없으면, 현재 9명의 난쟁이 키를 모두 더한 후 100을 빼면, 2명의 난쟁이만 찾아도 쉽게 답을 구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 자체는 엄청 어렵지는 않았지만, 그것도 쉽게 푸는 방법을 알았을때의 이야기지, 생각해내지 못했다면 7명의 난쟁이 키를 모두 더하는 알고리즘을 만들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주의사항인지 아니면 괜찮은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는 코드를 짤 때 정렬 알고리즘을 먼저 쓰고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에서는 2명의 난쟁이들의 index를 받아오는데, 받아온 후 정렬 알고리즘을 쓰면 index가 옮겨지기 때문이다.

#include <stdio.h>

int height[9];

void sorting();

int main(void) {
	int sum = 0;
	for (int temp = 0; temp < 9; temp++) {
		scanf("%d", &height[temp]);
		sum += height[temp];
	}
	int num = sum - 100;
	sorting();
	int i; int j;
	for (i = 0; i < 9; i++) {
		for (j = i + 1; j < 9; j++) {
			if (height[i] + height[j] == num) {
				break;
			}
		}
		if (height[i] + height[j] == num) {
			break;
		}
	}
	for (int temp = 0; temp < 9; temp++) {
		if (temp != i && temp != j) {
			printf("%d\n", height[temp]);
		}
	}
}

void sorting() {
	for (int a = 0; a < 9; a++) {
		for (int b = a + 1; b < 9; b++) {
			if (height[a] > height[b]) {
				int temp = height[b];
				height[b] = height[a];
				height[a] = temp;
			}
		}
	}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