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는 SQL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SELECT문에 대해 공부하였다.
이번에는 SELECT문에 WHERE절을 추가하여 특정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SELECT문에 WHERE절을 추가하여 특정 조건에 만족하는 데이터를 조회하는데 사용한다.
다시 말해 SELECT문에 일정한 조건을 추가하는 것으로 일종의 조건문으로 생각 할 수 있을 것 같다.
WHERE절은 조건식을 대입하여 결과가 '참(true)'인 경우에만 결과 값을 출력하고 '거짓(false)'의 경우는 결과 값을 출력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SELECT문과 함께 사용한 문법을 보여주면 아래와 같다.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회할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조건식];


WHERE절로 부서번호가 20이라는 조건을 넣었더니 부서번호가 20인 데이터들만 출력 된 것을 볼 수 있다.
WHERE절을 통해 여러 조건을 넣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조건식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산자들을 예시를 통해 공부해보자!
먼저 AND, OR 연산자는 WHERE절에 여러 개의 조건식을 넣고 싶을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부서번호가 30이면서 맡은 일이 'SALESMAN'인 경우 모두 충족된 데이터만 출력된 것을 볼 수있다.
참고로 문자 혹은 문자열을 표시할 때는 작은따옴표(' ')를 함께 사용해 주어야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대·소문자는 구별 해주어야 한다.
(SQL문에 사용하는 기본 형식은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 할 수 있으나, 테이블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구별이 필요)
WHERE절은 조건식에 대입했을 때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에 따라 데이터 출력 여부가 정해진다고 언급했을 것이다. AND 연산자의 사용에 의한 결과 값을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피연산자 모두가 '참(true)'일 때만 결과가 출력된다.



부서번호가 30이거나 맡은 일이 'SALESMAN'인 경우 중 하나만이라도 충족한 경우 해당 데이터들이 출력 된 것을 볼 수 있다.
OR 연산자의 사용에 의한 결과 값을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참(true)'이 있으면 결과가 출력된다.

같은 조건이지만 연산자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찾고자하는 데이터에 맞게 연산자를 잘 활용 해야 한다.
사실상 WHERE절의 조건식의 개수를 제한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조건식의 개수 만큼 ADN나 OR을 축하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 연산자의 종류가 많아 나머지는 다음 글에서 이어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