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글에 이어서 WHERE절에 사용 할 수 있는 연산자들에 대해 알아보자
산술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산술 연산자 | 기능 |
|---|---|
| + | 더하기 |
| - | 빼기 |
| * | 곱하기 |
| / | 나누기 |
연간 급여가 36000인 사원 조회하기


비교 연산자는 연산자 앞뒤에 있는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비교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비교 연산자 | 사용 | 기능 |
|---|---|---|
| > | A>B | A이 값이 B보다 초과할 경우 '참(true)' |
| >= | A>=B | A이 값이 B보다 이상일 경우 '참(true)' |
| < | A<B | A이 값이 B보다 미만일 경우 '참(true)' |
| <= | A<=B | A이 값이 B보다 이하일 경우 '참(true)' |
급여가 1500미만인 사원 조회하기


등가 비교 연산자는 연산자 양쪽 항목이 같은 값인지 아닌지를 비교하는데 사용된다.
우리가 대표적으로 많이 쓰는 '='이 여기에 해당된다.
등가 비교 연산자는 조건에 부합할 경우 '참(true)'의 값을 반환하고 부합하지 않을 경우 '거짓(false)'값을 반환 한다.
등가 비교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등가 비교 연산자 | 사용 | 기능 |
|---|---|---|
| = | A=B | A이 값이 B값과 동일한 경우 '참(true)', 다를 경우 '거짓(false)' 반환 |
| != , <>, ^= | A!=B | A이 값이 B값과 다를 경우 '참(true)', 같을 경우 '거짓(false)' 반환 |
급여가 3000이 아닌 사원 조회하기


논리 부정 연산자는 비교 연산자는 아니지만, 비교 연산자와 동일한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는 연산자로 NOT을 사용한다.
만약 A의 값이 '참(true)'이면 논리 부정 연산자는 '거짓(false)'의 값이 되고, 반대로 A의 값이 '거짓(false)'이면 논리 부정 연산자는 '참(true)'이 될 것이다. 이것은 복잡한 여러개의 조건식의 정반대 값을 얻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급여가 3000이 아닌 사원 조회하기


IN 연산자는 특정 컬럼에 해당하는 조건을 여러개 지정 할 수 있게 해준다.
(1) 업무가 'SALESMAN','MANAGER'인 사원만 조회하기


업무가 'SALESMAN','MANAGER'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되는 사원이면 결과값에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IN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OR 연산자를 통해 입력해야 할 조건식이 늘어나게 됨으로 IN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데이터를 조회해 보자!
(2) 업무가 'SALESMAN','MANAGER'인 사원만 조회하기


반대로 정반대의 결과값을 조회하고 싶으면 IN 앞에 논리 부정 연산자 NOT을 사용 해주면 된다.
실제로 업무가 'SALESMAN','MANAGER'이 아닌 사원만 조회된 것을 볼 수 있다.
👉 연산자의 종류가 많아 나머지는 다음 글에서 이어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