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변수함수의 미분적분

temp·2021년 9월 9일
0

MatheMatics-Related

목록 보기
3/3
post-thumbnail

X=(x,y)\bold{X}=(x,y) 또는 X=(x,y,z)\bold{X}=(x,y,z)라 하자.

DR2orR3D \subset \mathbb{R}^{2} or \mathbb{R}^3
이 때, domain DD는 open set이다.

예를 들어,
위와같은 상황일 때,
D:={(x,y)x2+y2<1}D := \{(x,y)|x^{2}+y^{2}<1\} 이라 할 수 있고,
이 때 영역 D\partial{D}D:={(x,y)x2+y2=1}\partial{D}:=\{(x,y)|x^{2}+y^{2}=1\}로 정의한다.

특히, Dˉ=DD\bar{D}=D \cup \partial{D}

보통, 미분을 할 때 영역의 경계는 일반적으로 포함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 f:[0,1]Rf:[0,1]\rightarrow \mathbb{R}일 때 연속이고,
  • (0,1)(0,1)에서 미분 가능하다.

라는 식으로 미분 문제를 풀 수 있게끔 가정이 주어지곤 했습니다.


DRD\subset \mathbb{R}을 domain이라 합시다.

이 때, C2(D)C^{2}(D)C2(D)C^{2}(D)라는 집합에 포함되는 변수는 모두 이계도함수가 잘 정의 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uC2(D)u\in C^{2}(D)라면, uxx,uxy,uyx,uyyu_{xx}, u_{xy}, u_{yx}, u_{yy}가 모두 존재하며, 특히 연속입니다.
즉, 2계도함수가 연속이기 때문에 당연히 uu, ux,uyu_x, u_y가 모두 연속일 거라는 결론이 도출됩니다.

이 때,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우선 uxy=uyxu_{xy}=u_{yx}라 가정합니다.

Theorhm(Vanishing Theorhm)

f  continous  in  Dˉ,  where  D  is  bounded  domainf가 \; continous \; in \; \bar{D},\; where \; D \; is \; bounded \; domain, f0  in  Dˉf \geq0\;in\;\bar{D} 이면,

Df(X)dx=0\iiint_Df(\bold{X})dx=0
f0  in  Dˉ\Rightarrow f \equiv 0\;in\;\bar{D}

즉, 음이 아닌 함수 값을 적분했을 때 0이 나오면, 그 함수 값 자체도 0이 된다.

또한,
D0:DD0  in  R2  or  R3D_0:\forall D\subset D_0 \; in\; \mathbb{R}^{2} \;or\; \mathbb{R}^{3}일 때,
Df(x)dx=0\iiint_D f(x)dx=0이면
f0  in  D0\Rightarrow f\equiv 0 \;in \;D_0

proof
만약, 특정 point x0x_0에서 함수 값이 0이 아니라 하자(f(x0)0f(x_0)\ne 0).
그러면, f(x0)>12f(x0)f(x_0)>{{1}\over{2}}f(x_0)을 만족하는 이웃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해당 영역에서는 적분 값이 0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모순이다.

Theorhm(Chain Rule)

(s.t)(x,y)u(s.t) \rightarrow (x,y) \rightarrow u
x=g(s,t)x=g(s,t)
y=h(s,t)y=h(s,t)
이 때, uus,ts,t에 대한 함수로 이해할 수 있고, 아래와 같이 연쇄법칙(Chain rule)을 적용할 수 있다.

  • us=uxxs+uyys{{\partial u}\over{\partial s}}={{\partial u}\over{\partial x}}{{\partial x}\over{\partial s}}+{{\partial u}\over{\partial y}}{{\partial y}\over{\partial s}}
  • ut=uxxt+uyyt{{\partial u}\over{\partial t}}={{\partial u}\over{\partial x}}{{\partial x}\over{\partial t}}+{{\partial u}\over{\partial y}}{{\partial y}\over{\partial t}}

Excercise

극좌표 u(x,y)u(x,y)x=rcosθ,y=rsinθx=rcos\theta, y=rsin\theta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때, 아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uxx+uyy=urr+1rur+1r2uθθu_{xx}+u_{yy}=u_{rr}+{{1}\over{r}}u_r+{{1}\over{r^{2}}} u_{\theta\theta}


Proof
uru_r
=ur={{\partial u}\over{\partial r}}
=uxxr+uyyr={{\partial u}\over{\partial x}}{{\partial x}\over{\partial r}}+{{\partial u}\over{\partial y}}{{\partial y}\over{\partial r}}
......

urru_{rr}
=r(ur)={{\partial}\over{\partial r}}(u_r)
......


Hint : ur{{\partial u}\over{\partial r}}에서 uu대신 uxu_x를 대입하면 r(ux){{\partial}\over{\partial r}}(u_x)를 구할 수 있다(아니면 그냥 일계도함수에 연쇄법칙을 한 번 더 적용할 수 있다).

이후는 그냥 굿노트에 적자.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ㅎㅎ..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