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론] Calculus, Linear Algebra,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temp·2021년 9월 3일
0

MatheMatics-Related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본 글은 Strauss, PDEs - an introductionAPPENDIX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APPENDIX

Notation

Ck(R)C^{k}(\mathbb{R})R\mathbb{R} 공간에서 kk번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는 연속인 함수들의 집합이다.
예를 들어, uC1(R)u\in C^{1}(\mathbb{R})이라면, u,ux,uyu,u_x,u_y가 모두 연속이다.

A.1. CONTINUOUS AND DIFFERENTIABLE FUNCTIONS

Calculus, 즉 미적분학은 무엇일까?

이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볼 수는 있겠지만, 대표적으로는
limitlimit로 바라보는 관점이 있을 수 있다.

Theorhm (epsilon-delta)

limx>x0f(x)=Llim_{x->x_0}f(x)=L
ϵ>0, δ>0  s.t.  0<xx0<δf(x)L<ϵ\Leftrightarrow \forall_{\epsilon>0}, \exists \ \delta>0 \ \ s.t. \ \ 0<|x-x_0|<\delta \Rightarrow |f(x)-L|<\epsilon

즉, 모든 양수 입실론에 대하여 위의 항진명제를 만족시키는 델타가 존재해야(즉, 찾아야)한다.


Exercise

limxax2=a2\displaystyle{\lim_{x \to a}x^2=a^2}
를 앱실론-델타 논법을 이용해 증명해보자.

sol

ϵ\epsilon이 주어졌을 때,
xa<δ|x-a|<\delta 이면, x2a2=xax+a<δx+a<ϵ|x^{2}-a^{2}|=|x-a||x+a|<\delta|x+a|<\epsilon을 만족시키면 된다.

즉, δ<ϵx+a\delta<{{\epsilon}\over{|x+a|}}(1)\cdots (1)

를 만족시키자.

이 때, δ\delta는 충분히 작게 잡을 수 있으므로 기준을 11로 잡고 부등식을 도출 해보자.

xa<1|x-a|<1
xa<xa<1\Rightarrow |x|-|a|<|x-a|<1
x<1+a\Rightarrow |x|<1+|a|

즉,

x+ax+a<1+2a|x+a|\leq|x|+|a|<1+2|a| (2)\cdots (2)

이 성립한다.

이 때, δ=min(1,ϵ1+2a)\delta=min(1, {{\epsilon}\over{1+2|a|}})로 잡아보자.

그러면,
1ϵ1+2a1\leq{{\epsilon}\over{1+2|a|}} 일 때,
δ=1\delta=1이고,
그 때 (2)(2)에 의해, δ=1ϵ1+2a<ϵx+a\delta=1\leq {{\epsilon}\over{1+2|a|}}<{{\epsilon}\over{|x+a|}}
또한,
1ϵ1+2a1\geq{{\epsilon}\over{1+2|a|}}일 때,
δ=ϵ1+2a\delta={{\epsilon}\over{1+2|a|}}이므로 마찬가지로 xa<δ<1|x-a|<\delta<1이고,
x+a<1+2a|x+a|<1+2|a|이다. 즉,
δ=ϵ1+2a<ϵx+a\delta={{\epsilon}\over{1+2|a|}}<{{\epsilon}\over{|x+a|}}

어느 경우에도 식 (1)(1)을 만족시킨다. \blacksquare

사실 이 문제는 그림을 그려 직관적으로 이해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Therom (Maximum-Minimum)

최대최소정리

f:[0,1]>R:continous,f:[0,1]->\mathbb{R} : continous,
x,x[0,1],  s.t\Rightarrow \exists x^{*}, x_* \in[0,1],\; s.t

  • f(x)<=f(x),      0<=x<=1f(x)<=f(x^{*}) , \;\; \forall\;0<=x<=1
  • f(x)<=f(x),      0<=x<=1f(x_*)<=f(x), \;\; \forall\; 0<=x<=1

즉, 최댓값 최솟값이 위의 정의역 내에 존재한다.
(단, 어디에 존재하는지, 유일하게 존재하는 지는 알 수 없다).

Question
위의 최대 최소 정리는 어떻게 증명을 할까? (해석학)
f([0,1]):boundedf([0,1]) : bounded 일 때,
실수의 유계인 부분집합은 하한과 상한이 항상 존재한다. 위로만 유계되어 있으면 상한을 가지고, 아래로 유계되어 있으면 하한이 항상 존재한다.
-> 실수의 완비성
이 때, sup(f([0,1])=f(x)sup(f([0,1])=f(x^{*})를 보이면 된다.
가정 상 유계되어 있는 함수기 때문에 위의 sup(f([0,1])sup(f([0,1])은 존재한다.


A.2. VECTOR FIELDS

Lu=0\mathcal{L}u=0
Lu=ux+uy\mathcal{L}u=u_x+u_y라 하자.

이 때, mapping L:C1(R2)C(R)\mathcal{L}: C^{1}(\mathbb{R}^{2})\rightarrow C(\mathbb{R})

함수공간은 보통 다항식의 차수로 제한하지 않는 이상 dimension은 **infinity

L:\mathcal{L} : linear

즉, uu는 무한 차원 공간의 벡터 스페이스라는 것.

Lu=0\mathcal{L}u=0이란?
ukernel(L)\Leftrightarrow u\in kernel(\mathcal{L})

이 때, PDE의 order는 1이고, 상수 계수 이기 때문에 ker(L)ker(\mathcal{L})의 차원은 1일 것이다.

로우 레벨에서는 대부분 linear만 다룬다.
Lu=fuf+ker(L)\mathcal{L}u=f u\in f+ker(\mathcal{L})


ODE 에서는,

V(t)V(t)를 unknown func.라 할 때

VH+aV+bV=0,  a,bRV^{H}+aV'+bV=0, \; a,b\in\mathbb{R}.
와 같이 식이 주어지면, 이를

v=c1u1(t)+c2u2(t)v=c_1u_1(t)+c_2u_2(t)
와 같은 식으로 변형할 수 있었다.

이 때, linearly independent하기 때문에 u1,u2u_1,u_2vector spacebasis이다.
즉, PDE의 order가 이러한 역할을 한다.

v(0)=D=V(0)v(0)=D=V'(0)으로 initial condition이 주어지면, 위 식의 a,ba,b유일하게 정할 수 있다. v=0v=0이 해가 되기 때문에 곧바로 유일한 해가 된다.

즉, PDE에서 linear일 땐 basis를 우선 찾고, condition에 따라 계수를 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게 일반적으로 PDE를 푸는 방법이다.

책의 1.5절에 있는 이야기인데, 편미분방정식이 well-posed, 즉 잘 정의 된다는 말은
해의 존재성(existence), 유일성(uniqueness), 안정성(stability)을 만족시킨다는 말과 같다.

stability
Lu=f\mathcal{L}u=f라 하자.
이 때, ff를 약간씩 smooth하게 변화를 준다면 그 변화에 따라 uu또한 합리적으로 변하면 stability를 만족시킨다 한다.


A.3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Theorhm (DERIVATIVES OF INTEGRALS)

f:[a,b]×[c,d]Rf:[a,b]\times [c,d] \rightarrow \mathbb{R}

f(x,t),ft(x,t)  is  continuous?  Then,f(x,t), {{\partial f}\over {\partial t}}(x,t) \;is\;continuous? \; Then,
ddt(wb(f(x,t)dx)=wbft(x,t)d(x)\Rightarrow {{d}\over{dt}}(\int^{b}_w(f(x,t)dx)=\int^{b}_w{{\partial f}\over{\partial t}}(x,t)d(x)

위와 같은 조건이 있어야 미분 기호가 적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증명 아이디어는 책에 있다.

t0\nabla t \rightarrow 0일 때, uniformly convergence해서 미분 기호가 적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

위의 식은 \int^{\infty}_{-\infty}일 때도 되고, 다변수 적분인ddtDdxdy{{d}\over{dt}} \int\int_{D}dxdy일 때도 가능하다.

즉, 미분하고 적분 기호가 있을 때 적분 안에 있는 피적분 함수의 상태가 좋다면 적분 기호 안으로 미분을 삽입할 수 있는 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