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st Square Method(최소자승법)의 이해와 그 풀이법인 Normal Equation

Surf in Data·2022년 4월 19일
0

linear algebra

목록 보기
6/6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최소자승법이란?

최소 자승법이란 간단히 말해 Matrix Equation인 Ax=bAx = b의 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일 근사한 해를 찾는 과정이다.

아래와 같은 Matrix Equation인 Ax=bAx = b 주어졌다고 하자

[126347758][x1x2x3]=[667478xN]\left[ \begin{array}{cc} 1 & 2 & 6\\ 3 & 4 & 7\\ 7 & 5 & 8\\ \vdots & \vdots &\vdots \end{array} \right] \begin{bmatrix} x_{1} \\ x_{2} \\ x_{3} \\ \end{bmatrix} = \begin{bmatrix} 66 \\ 74 \\ 78 \\ \vdots \\ x_{N}\end{bmatrix}

Matrix Equation은 A의 열벡터(a1,a2,a3a_1, a_2, a_3)들의 Span(a1,a2,a3)Span(a_1, a_2, a_3) 속에 bb벡터가 존재해야 해(xx)가 존재한다 하지만 위같은 경우 해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이때 우리는 해를 구하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최적의 해를 구하고 싶다면 오차가 제일 적은 해를 구해야 할것이다.
즉, ||bAxb - Ax|| 가 최소가 되는 xx를 찾으면된다.

최소자승법의 기하학적인 이해

아래의 그림을 통해 최소자승법의 기하학적인 의미를 알아보겠다.
출처:https://4.bp.blogspot.com

ColACol A(열공간):
행렬 AA의 열벡터들의 선형 결합으로 SpanSpan된 부분공간

Matrix Equation인 Ax=bAx = b 의 해가 존재하려면 벡터bb가 행렬AA의 열공간 안에 있어야하지만 Least Square Method같은 경우 위의 그림처럼 벡터 b가 행렬AA의 열공간 밖에 있는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최적의 해를 x^\hat{x}라 한다면 Ax^=b^A\hat{x} = \hat{b} 이고 b^\hat{b}AA의 열공간 벡터중bb와의 거리가 가장 작은 벡터를 의미한다.
이때 bb^b - \hat{b}는 열공간에 수직임을 기억하자.

최소 자승법의 풀이 Normal Equation

Matrix Equation인 Ax=bAx = b 가 주어졌을때 최적의 해를 x^\hat{x} 라 했을때 bAx^b - A\hat{x}AA의 열공간과 수직이라 하였고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T(bAx^)=0A^T(b - A\hat{x}) = 0

이것을 풀면

ATAx^=ATbA^TA\hat{x} = A^Tb

위의 식을 Normal Equation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행렬 ATAA^TA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최적해인 x^\hat{x}를 구할 수 있다.

보통 A의 사이즈가 충분히 크면 A의 inverse matrix는 거의 존재한다.

결론은 아래와 같다. PAP_AAA의 열공간으로의 projection matrix

x^=(ATA)1ATb =PAb\hat{x} = (A^TA)^{-1}A^Tb \ = P_Ab
profile
study blog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