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얘기한 것 처럼 군수열을 어떻게 파이썬으로 다룰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수열을 보고 n번째 항의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봅시다.
1,1,2,1,2,3,1,2,3,4,1,2,3,4,5,...
inputN = int(input('n항 입력: '))
flag = True
n = 1; nCnt = 1; searchN = 0
while flag:
for i in range(1, (n+1)):
if i == n:
print('{} '.format(i), end= '')
else:
print('{} '.format(i), end= '')
ncnt += 1
if (nCnt > inputN):
searchN = i
flag = False
break
print()
n += 1
print('{}항: {}'.format(inputN, searchN))
로 표현합니다.
그럼 두번째 문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수열을 보고 n번째 항의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봅시다.
inputN = int(input('n항 입력: '))
flag = True
n = 1; nCnt = 1; searchNC = 0; searchNP = 0
while flag:
for i in range(1, (n+1)):
if i == n:
print('{}/{} '.format(i, (n-i+1)), end ='')
else:
print('{}/{}, '.format(i, (n-i+1)), end = '')
nctn += 1
if (nCnt > inputN):
searchNC = i
searchNP = n-i+1
flag = False
break
print()
n +=1
print('{}항: {}/{}'.format(inputN, searchNC, searchNP))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