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하면서 사용하기 편한 서비스를 만드는 일에 늘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이 책의 제목부터 자연스럽게 눈길이 갔습니다. 최근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디자인 직군은 사라질 것이다”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있지만, 오히려 AI를 잘 활용하면 디자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그 가능성에 주목해, AI를 도구로 활용해 UX/UI 디자인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을 것 같아 흥미가 생겼습니다. 특히 혼자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UX/UI에 대해 고민할 일이 종종 있는데,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AI를 통해 어떤 인사이트를 얻고 실제로 어떻게 적용 해볼 수 있을지 기대하며 읽고 싶었습니다.
이 책은 AI를 단순히 위협적인 존재로 보지 않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도구로 바라봅니다. AI를 UX/UI 디자인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풍부하게 제공해 줍니다.
책에서는 디자인 문제를 해결할 때 널리 사용되는 UX/UI 디자인 프로세스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소개합니다. 이 모델은 발견 → 정의 → 개발 → 전달의 4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AI 도구를 함께 안내해줍니다.
개발에 TDD(Test-Driven Development) 같은 방법론이 있듯이, UX/UI 디자인에도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이라는 디자인 프로세스가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도구의 종류가 다양해 프로젝트 성격에 맞게 적절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유용하게 느껴졌습니다. 동시에, 선택지가 너무 많아 무엇을 선택할지 고민이 많아질 수 있겠다는 현실적인 생각도 들었습니다.
책에서는 다양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도 소개합니다.
책에서는 이러한 프롬프트 기법들이 실제 UX/UI 디자인 업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예시와 함께 소개해 주기 때문에, 최근 관심이 생긴 바이브 코딩을 활용한 사이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AI의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과 주의할 점도 함께 짚어준 점이 좋았습니다. 예를 들어, 할루시네이션(허위 정보 생성) 현상이 있기 때문에,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반드시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나 민감한 데이터는 보안상의 이유로 AI에 입력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언급합니다.
이와 함께, 저작권 문제나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해서도 고민해 봐야 한다고 합니다. AI 도구를 보다 책임감 있게 활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UX/UI 디자인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은 물론, 프롬프트 기법·디자인 프로세스·휴리스틱 평가 등 UX/UI의 핵심 개념도 함께 배울 수 있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