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Ra와 LTE-M

Donghwi Kim·2024년 1월 28일
0

잡다한 개발 지식

목록 보기
6/26

LoRa

장거리 저전력 무선 플랫폼으로서 (한국에서) 92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기술.

LoRa는 물리(Physical) 계층에 속하며 Semtech이 보유한 무선 통신 기술.
LoRaWAN은 링크(Mac) 계층에 속하며 LoRa Alliance가 이를 규정하고 있다.



LoRa의 특징

  • Low Energy 저전력
  • Long Range 장거리 - 10마일 이상. 대략 16km 이상
  • 다중센서 가능 - 통신을 해주는 단말을 Node라고 표현하는데 이 Node에 여러 개의 센서를 연결할 수 있음.
  • 암호화 - 기본적으로 AES128을 따르는 보안 기능을 제공함.


LoRa의 장점

  •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야외나 구축이 힘든 실내 환경에 활용 가능
  • 낮은 사용료와 저렴한 초기 구축비
  • 단순한 접속 절차 (OTAA, ABP)로 대량의 단말기(End Device) 간단하게 수용 가능
  • End Device가 복수의 기지국에 접속 가능하여 최적의 경로로 네트워크에서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
  • Sensitivity 특성이 좋아서 신호 간섭에 강하고 최적의 주파수 활용도를 제공
  • LoRa는 기기간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고, 채널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 X


LoRa의 단점

  • LoRa의 지속적인 개발로 LoRa 장비 및 네트워크 배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특정 스펙트럼 간섭이 서로간에 발생
  • LoRa 배포 프로세스 중, 사용자는 자신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함
  • LoRa 전송 데이터의 페이로드는 상대적으로 작고 바이트 제한이 있음



LTM-M (LTE-Machine Type Communication)

이동통신망 이용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해 LPWA 장치 간 메시지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


LTE-M의 특징

  • 저전력 모드 - PSM(Power Saving Mode) 기능 추가
  • 면허 대역 주파수 -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통신 품질 저하 없음
  • Global Network - Roaming을 통한 글로벌 확장 가능


LTE-M 주요 기술

  • 이동통신 통신 성능
    • PDCP 계층 - IP 패킷 무선 전송 스케줄
    • RLC 계층 - PDCP 패킷 분할/조립, 재전송
    • GTP-U 계층 - eNB와 P/S-GW 간 S1/5, SGi

  • 사물인터넷 통신 효율성
    • PSM - 절전기능 기반 소모전력 절감
    • eDRX Mode - idle/connect, Short/Long DRX
    • CE Mode - 신호 재전송, 통신 거리 증대


LTE-M 통신망 구조


LTE-M 성능 규격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