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팅을 직역하면 떠있다는 뜻이다.
위 그림을 통해 플로팅 현상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스위치가 연결되면 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르게 된다.
근데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지 안 흐르는지 알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 플로팅 현상이다.
플로팅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디지털 핀을 입력 상태로 설정하면 5V값은 HIGH, 0V 값은 LOW로 인식한다.
그런데 핀 자체의 칩에서는 0V, 5V인지 1V인지 인식할 수가 없어서 플로팅 현상이 생기게 된다. 입력 단자 주위에 정전기나 잡음에 의해서 오류가 생기게 되는 것.
이를 방지하기 위해 풀업 저항이나 풀다운 저항을 회로에 연결해주면 해결할 수 있다.
저항을 앞에 붙여서 플로팅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스위치가 열린 상태일 때는 입력 핀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원 전압과 같은 5V 전압이 걸리게 된다. 그래서 Input Pin에는 HIGH 값이 읽히게 된다.
풀업 저항에서 스위치가 닫힌 상태가 되면 모든 전류는 GND 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되면 Input Pin에는 0V 전압이 걸리게 된다.
정리하자면 풀업 저항에서는 아래와 같다.
풀다운 저항은 풀업 저항과는 반대로 밑에다가 저항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스위치가 열린 상태에서는 어디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입력 핀에는 0V 전압이 걸리게 된다.
스위치가 닫힌 상태에서는 밑의 저항으로 인해 전류는 모두 입력 핀 쪽으로 흐르고 입력 핀에는 전원 전압과 같은 5V가 걸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