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최근에 너무 바빠서 글을 못썼네요. 그럼 오늘은 제가 프로젝트를 하면서 겪은 일을 써보려고 합니다. 이전에 F-Lab에서 프로젝트를 하면 postValue 만을 쓰는것에 지적을 받은적이 있습니다 멘토님은 liveData에서 PostValue 와
이야... 삼성전자에서 재미난걸 출시했더군요. 갤럭시 플립5....출시후 유튜버 들의 리뷰를 보면서 설마 커버 스크린에서 에서 우리 앱을 쓰겠어? ㅋㅋㅋㅋ 라고 웃었던 기억이 나네요...네 그게 현실이 되었습니다.... 아하하하.......그럼 커버 스크린에 대해 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던중 멘토님께서 물어보신 LiveData setValue 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볼려고 합니다. 일단 LiveData 가 무엇인가? Google Android doc을 보시면 MVVM을 사용하는 예시 프로젝트가 많습니다.그
F-Lab 모각코 챌린지 67일차 다들 어? 66일까지만 하는거 아니였어? 할수도 있으십니다. 그런데 이제 몸에 배여서 매일 한번 써볼려고 "노력"은 해볼려고요 오늘은 Android 개발자 한테 아주 유용한 Timber 라는 라이브러리를 소개해볼려고 합니다 Ti
Flow 란 ? suspend 로 작업하는 함수 즉 비동기적 함수에서 함수가 끝나면 단일 값만 받게 됩니다. 이러시면 오른쪽 위에 x 버튼 눌러서 나가시면 됩니다. Flow 은 이 비동기적으로 끝나는 함수에서 중간중간 갱신되는 값까지 받을수 있도록 설계된 라이브러
F-Lab 모각코 챌린지 62일차 오늘은 Firebase 을 통한 회원가입을 구현해 볼려고 합니다. 일단 이전에 MVP 로 프로젝트를 구현했습니다 .근데 이게 마지막 일거 같습니다....이러한 이유로 다음 부터 MVVM 으로 구현할려고 합니다....그럼 마지막 MVP
오늘은 저번에 알아본 data layer에서 message 을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전 google 에서 제공한 가이드 문서 토대로 라이브러리를 다운 받았습니다. 위에서 부터 보면 wearable 은 wear 의 node 와
음..... 회사에서 신기한걸 시도하네요.. 보안상 말은 못하지만한번도 시도를 안해본 android os 바탕의 wear 기기의 app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제가 만든 앱 바탕으로 설명을 해볼려고 합니다. 프로젝트 생성 방법 : https://develo
요즘 사람인 , 잡코리아에서 안드로이드 개발자을 채용하는데 가장 많이 보이는게 주요요건 : MVVM 패턴 구현 가능자 비동기 통신 구현 경험자 ETC... 일것이다. 사수 왈 : 디자인 패턴은 너한테 맞는걸 쓰면 된다 본인: 걍 MVVM이 짱 좋아서 사람들이 몰리는
2023년 05월 20일 F-lab을 듣고 있던 난 스터디 그룹 맴버들에게 네이버 검색 api 을 이용해서 android mvvm 패턴을 적용한 앱을 만들어 오겠다는 말을 했다. 그래서 야근하고 고향으로 돌아와서 토요일 자동차 세차를 맡기고 잠시 Naver 개발자 센터
전 포스트에서 에러 상황이 발견되었다...https://openapi.naver.com/v1/search/ 이것이 기본 url인데 하하....그럼 https://openapi.naver.com/v1/search/search/book.json 이런식
오늘은 DataLayout 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ata layer 은 쉽게 말해서 데이터 보내는 API 입니다. 예를들어 안드로이드폰 - Wearable device 좀더 쉽게 생각해서 Galaxy S 21 + - Galaxy
오늘은 이전에 저의 멘토님께서 말씀하신 usecase을 적용을 해볼려고 코드 간결성 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보겠습니다.왜 usecase을 써야 하는가 이건 이전에 제가 멘토님에게 질문했던것이랑 똑같았고 적용 이전까지도 의문 이
F-lab 페이벡 첼린지 9일차. 매일 아침 일어나면 오늘은 무엇을 공부해서 글을 쓸까 고민을 합니다.와중에 멘토님이 databinding을 써보세요! 라고 해서 한번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전 진짜 코딩에서 보수적이었습니다. 변화를 정말 싫어하지요(F-lab
오늘은 기존의 xml 로 선언 한게 아닌 코드를 이용해 자신만의 view을 만드는 법을 블로그 해볼려고 합니다 .아마 많은 프론트엔드 , 안드로이드 개발자 etc 등 서비스 프로그래머들이 많이 겪는 상황일겁니다. 실무에서 많이 오고가는
어제 글에서 보면 멘토님께 코디 리뷰를 받고 사수분께 2차로 혼났다고 했던 글이 있어요. 뭐 때문에 혼냈는지? 조언? 했는지 알려주려고 해요. 생각해보니 혼내는게 아니라 조언 말씀 해 준거 같에요 ㅎㅎ 자 그럼 제가 어떠한 것에 혼났냐 제가 처음 실무를 들어갔을떄 처음
오늘은 Room database에 대해 공부해보고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일단 Room Database 이란?이전에 제가 학교에 다닐때 약간 메세지를 전송 하고 받는 메세지 앱 같은걸 구현한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서버가 없어서 A ->B 메세지 전송시
음 오늘은 조그마한 재미난것? 이라고 해야할까요?사수이 저한테 style을 써보라고 하고 하셔서 이것을 공부해보고 글을 쓰려고 합니다.style 또한 하나의 xml 입니다 .제가 조사했으니 조금더 쉽게 설명하자면 맨 상단에 항상 글이
오늘은 저번에 예고했듯이 Android 의존성 주입 관련에 대해 공부를 해볼려고 합니다! 의존성 주입이란 무엇인가? 유지 보수
저번 포스트에서 개발 준비를 했다. 모두가 다 했다고 생각해보고 가보자 자 다시 MVVM 패턴 그림을 보자 우린 여기서 Remote Data Source 쪽을 보자 Retrofit 을 통해 webService을 repostory 통해 요청이라 오케이 그럼 가보자
드디어 꿀같던 휴일이 끝나고 회사 관사로 복귀 하는날이 왔습니다..... 일하러 가기 싫네요....저번에 Android Repository 을 Naver 검색 api 에 적용을 해봤습니다.그럼 이제 Repository에서 데이터를 끌어
안녕하세요Android을 좋아하는 Assist 입니다. 최근에 아주 기분 좋은 일이 일어 났습니다. 바로!제가 카카오 뱅크의 서류 합격을 했었습니다!!!뭐...과제에는 떨어져 2일 동안 많이 힘들었지만 항상 공부하는것이 개발자 아닙니까?! 그래서 왜 떨어졌는지 분석 결
안녕하세요!안드로이드를 좋아하는 Assist입니다. 오늘도 인강을 듣고 정리를 하는 시간을 가져 볼려고 합니다. 오늘은 Coroutine의 Dispatcher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routine의 Dispatcher란 내가 어떤 쓰레드에서 실행되게 한다라고 정의
기업용 결제 프로필 인증을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