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F 계산식과 예시 — 작은 실습으로 감 잡기

ddo-log·2025년 9월 9일
0

1. PCF 계산의 기본 구조

PCF(Product Carbon Footprint)는 아주 단순하게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1. 활동데이터(Activity Data): 실제 사용량 (전기 kWh, 연료 L, 운송 km 등)
  2. 배출계수(Emission Factor): 단위당 평균 배출량 (kg CO₂, kg CH₄ 등)
  3. GWP(Global Warming Potential): 각 기체를 CO₂ 기준으로 환산하는 지수
  4. CO₂e(Carbon dioxide equivalent): 최종적으로 모두 합산된 값

2. 단계별 예시 ① — 전기 사용

한 공장에서 전기 100 kWh를 사용했다고 합시다.

  • 활동데이터: 100 kWh
  • 배출계수: 0.5 kg CO₂/kWh (예: 한국 전력 평균)
  • 배출량: 100 × 0.5 = 50 kg CO₂
  • 이미 CO₂만 포함된 계수라서 GWP 환산 불필요

👉 최종 배출량: 50 kg CO₂e


💡 용어 풀이

  • kWh (킬로와트시): 전력 사용량 단위. 1kW 전력을 1시간 동안 쓴 양.
  • 전력 배출계수: 전력 1kWh를 생산할 때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양.

3. 단계별 예시 ② — 트럭 운송

트럭으로 1톤 물품을 200km 운송했다고 합시다.

  • 활동데이터: 200 km × 1톤
  • 배출계수: 0.12 kg CO₂/km·톤
  • 배출량: 200 × 0.12 = 24 kg CO₂

👉 최종 배출량: 24 kg CO₂e


💡 용어 풀이

  • 톤·킬로미터 (ton-km): 물품 1톤을 1km 운송하는 단위.
  • 운송 배출계수: 교통수단별 평균 배출량. (예: 트럭, 선박, 항공기)

4. 단계별 예시 ③ — 메탄 배출

어떤 공정에서 메탄(CH₄) 2kg이 직접 배출됐다고 합시다.

  • 활동데이터: 2kg CH₄
  • 배출계수: 1 (직접 배출량 그대로 사용)
  • GWP: 메탄의 GWP100 = 28 (IPCC AR6 기준)
  • 배출량: 2 × 28 = 56 kg CO₂e

💡 용어 풀이

  • 직접 배출(Direct Emission): 공정에서 바로 배출된 기체량.
  • GWP 100: 100년 기준 지구온난화지수.

5. 전체 합산 예시

이제 위 세 가지를 모두 더해봅시다:

  • 전기: 50 kg CO₂e
  • 트럭 운송: 24 kg CO₂e
  • 메탄: 56 kg CO₂e

👉 총합 = 130 kg CO₂e

이렇게 하면, “이 제품 1개 생산 시 130kg의 CO₂와 같은 온난화 효과가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6. 왜 이렇게 하는 걸까?

  • 비교 가능성: 서로 다른 온실가스를 하나의 단위로 합치기 위해
  • 투명성: 계산 과정을 기록하면 누가 다시 계산해도 같은 결과가 나옴
  • 관리 용이성: 어떤 단계(전력? 물류? 공정?)에서 배출이 큰지 파악 가능

7. 정리

  • PCF 계산은 활동데이터 × 배출계수 × GWP 구조로 진행된다.
  • 전기, 운송, 직접 배출 같은 각각의 단계별 값을 계산한 후 합산한다.
  • 최종 결과는 CO₂e 단위로 표현된다.
  • 이 과정을 통해 제품 단위의 “탄소발자국”을 수치화할 수 있다.

profile
Front-End Programm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