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와 문서화 — ISO 규칙대로 보고서 만드는 방법

ddo-log·2025년 9월 9일
0

1. 왜 보고와 문서화가 중요한가?

PCF 계산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게 결과를 어떻게 남기고, 공유하느냐입니다.
숫자만 “130 kg CO₂e”라고 던져놓으면,
👉 “이게 어디까지 포함된 값이지?”
👉 “어떤 데이터와 기준을 쓴 거지?”
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ISO 14067에서는 보고서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요소를 정리해 두었어요.
그 목적은 재현 가능성비교 가능성입니다.
즉, 누가 다시 해도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만드는 것이죠.


2. 보고서에 꼭 들어가야 할 항목

ISO 14067에 따르면 PCF 보고에는 다음 요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1. 목적과 범위 (Goal & Scope)

    • 왜 이 PCF를 계산했는가? (규제 대응, 고객 요청, 내부 관리 등)
    • 시스템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Cradle-to-Gate, Grave 등)
    • 기능단위는 무엇인가?
  2. 데이터와 출처 (Data & Sources)

    • 어떤 활동데이터를 사용했는가?
    • 배출계수는 어디서 가져왔는가? (국가 DB, 국제 DB, 협력사 제공 등)
    •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 구분
  3. 방법론적 선택 (Methodological Choices)

    • 어떤 GWP 세트를 썼는가? (IPCC AR4, AR6 등)
    • 할당(Allocation) 방법은 무엇인가? (공정을 여러 제품이 나눠 쓸 때)
    • 컷오프(Cut-off) 기준은 무엇인가? (포함/제외 결정)
  4. 결과 (Results)

    • 최종 PCF 값 (예: 130 kg CO₂e per 제품 1개)
    • 단계별 기여도 (예: 전력 40%, 운송 20%, 공정 40%)
  5. 한계와 불확실성 (Limitations & Uncertainty)

    • 어떤 부분은 추정치인지, 어떤 부분은 실측치인지
    • 불확실성이 높은 데이터는 무엇인지

💡 용어 풀이

  • 재현 가능성 (Reproducibility): 같은 방법으로 하면 누구나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는 성질.
  • 할당(Allocation): 한 공정에서 여러 제품이 동시에 생산될 때, 배출량을 어떻게 나눌지 정하는 방법.
  • 컷오프(Cut-off): 중요하지 않은 단계나 데이터는 제외하는 기준.

3. 보고 형식 예시

실제 보고서는 보통 이런 구조로 작성됩니다.

제품명: 알루미늄 부품 A
기능단위: 부품 1개 (200g)
시스템 경계: Cradle-to-Gate
GWP 세트: IPCC AR6, 100년 기준

  • 데이터 출처
    • 전기 사용량: 2023년 공장 계량기 데이터 (1차 데이터)
    • 운송 거리: 물류팀 기록 (1차 데이터)
    • 알루미늄 원료 배출계수: ecoinvent DB 3.9 (2차 데이터)
  • 결과
    • 총 PCF = 130 kg CO₂e
    • 주요 기여도: 원료 70%, 전력 20%, 운송 10%
  • 한계
    - 원료 배출계수는 평균 DB값 → 실제 공급업체와 차이 가능성 있음

4. 검증(Verification)과 신뢰성

기업들이 외부 보고를 할 때는 제3자 검증(Third-party verification)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ISO 14067도 검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작성해야 하며, 이때는 데이터 출처와 가정이 특히 중요합니다.

👉 “숫자”만이 아니라, 숫자가 나온 과정까지 보고해야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용어 풀이

  • 제3자 검증(Third-party verification): 계산한 회사가 아닌 독립된 기관이 결과를 확인하는 절차.
  • 투명성(Transparency): 숨김 없이 가정·출처·한계를 공개하는 태도.

5. 정리

  • ISO 14067 보고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과정 전체를 담아야 한다.
  • 반드시 포함할 것: 목적·범위, 데이터와 출처, 방법론적 선택, 결과, 한계.
  • 외부에 제출할 때는 검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 투명하게 작성해야 공급망, 고객, 규제기관이 모두 신뢰할 수 있다.

profile
Front-End Programm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