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경계와 기능단위 — 어디까지, 무엇을 볼 것인가

ddo-log·2025년 9월 9일
0

1. 왜 이게 중요한가?

PCF를 계산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결정이 있습니다.
👉 “어디까지 포함할까?” (시스템 경계)
👉 “어떤 단위를 기준으로 볼까?” (기능단위)

이 두 가지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같은 제품이라도 사람마다 계산 결과가 달라져서 비교가 불가능해집니다.


2. 시스템 경계(System Boundary)란?

시스템 경계는 “PCF 계산에서 포함할 범위”를 뜻합니다.
마치 지도를 그릴 때 어디까지 영역을 포함할지 정하는 것과 같아요.

대표적인 유형

  1. Cradle-to-Gate (요람에서 공장 문 앞까지)

    • 원재료 채굴 → 제조 → 공장 출하
    • 판매 이후(운송, 사용, 폐기)는 포함하지 않음
    • 제조업체가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식
  2. Cradle-to-Grave (요람에서 무덤까지)

    • 원재료 채굴 → 제조 → 사용 → 폐기까지 전부 포함
    • 전체 환경영향을 보고 싶을 때 사용
  3. Cradle-to-Cradle (순환까지)

    • 원재료 채굴 → 제조 → 사용 → 폐기 → 재활용 → 다시 원료
    • 순환경제 모델에 적합

💡 용어 풀이

  • Cradle: "요람" → 제품의 시작, 즉 원재료 단계
  • Gate: "공장 문 앞" → 제품이 시장으로 나가는 지점
  • Grave: "무덤" → 제품의 끝, 폐기 처리 단계
  • Cradle-to-Cradle: 끝난 뒤 다시 원재료로 돌아가는 순환 구조

3. 기능단위(Functional Unit)란?

기능단위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떤 기준으로 비교할지 정하는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생수를 비교한다면 단위는 “500ml 생수 1병”이 될 수 있어요.

만약 “생수 2L”와 “생수 500ml 4병”을 비교할 때, 단위가 제각각이면 공정한 비교가 불가능하죠.
그래서 반드시 공통된 기준(기능단위)을 정해야 합니다.

예시

  • 음료: 500ml 생수 1병
  • 자동차 부품: 알루미늄 휠 1개
  • 전력: 1 kWh 전기
  • 서비스: 택배 1회 배송

💡 용어 풀이

  • Functional Unit (기능단위): 제품의 성능을 대표할 수 있는 비교 기준 단위
  • Reference Flow (기준흐름): 기능단위를 충족하기 위해 실제로 필요한 제품·서비스의 양

4. 실제 적용 예시

예시 1) 자동차 타이어

  • 시스템 경계: Cradle-to-Grave (원료부터 폐기까지)
  • 기능단위: 타이어 1개 (20,000km 주행 기준)

예시 2) 커피 한 잔

  • 시스템 경계: Cradle-to-Gate (원두 생산부터 카페 문 앞까지)
  • 기능단위: 아메리카노 1잔 (250ml)

예시 3) 스마트폰

  • 시스템 경계: Cradle-to-Grave (원자재 채굴부터 폐기까지)
  • 기능단위: 스마트폰 1대 (2년 사용 가정)

5. 왜 이렇게 나누는 걸까?

  • 기업이 보고 목적에 따라 범위를 다르게 정하기 때문입니다.
    • “우리 공장 생산만 보고 싶다” → Cradle-to-Gate
    • “소비자까지 다 보여주겠다” → Cradle-to-Grave
  • 기능단위를 정해두면, 제품 간 비교가 가능해집니다.
    • 예: “종이컵 1개 vs 텀블러 1회 사용” 비교 → 공정하게 하려면 “커피 250ml 제공”이라는 기능단위가 필요

6. 정리

  • 시스템 경계는 어디까지 포함할지를 정하는 것 (Cradle-to-Gate, Grave, Cradle-to-Cradle).
  • 기능단위는 비교 기준을 정하는 단위 (500ml 생수 1병, 1kWh 전기 등).
  • 둘 다 명확히 하지 않으면 결과가 뒤죽박죽이 되어서, PCF 값은 의미가 없어집니다.

profile
Front-End Programm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