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edShift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AWS 홈페이지에 접속해 콘솔에 로그인을 해 준 후 Amazon RedShift 창으로 접속해 준다.RedShift를 검색하거나 다음과 같이 ²서비스 메뉴를 통해 분석 -> Amazon Redshift를 찾아 접속할 수도 있다.
클러스터(Cluster)를 눌러 주면 현재 내 계정의 클러스터(Cluster)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창을 볼 수 있다.클러스터 생성 버튼을 눌러 준다.클러스터의 식별자 즉, 클러스터의 이름을 입력해 준다.Node 유형을 추천해 주게 된다.
직접 선택을 누르면 Node 유형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된다.
DC2의 dc2.large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Nodes는 하나의 CPU만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1로 맞추어 두었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awsuser인데 상황에 맞춰 설정하면 된다.


퍼블릭 액세스 가능을 가능 처리해 주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성에서 설정된 포트 넘버는 기억해 주도록 한다.유지 관리 기간을 설정해 줄 수도 있고, 모니터링 여부와 백업 여부를 설정해 줄 수도 있다.클러스터 생성 버튼을 눌러 클러스터를 생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