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1463] 1로 만들기

개발자 핑구·2022년 3월 11일
0

문제

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다.

  1. 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
  2. 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
  3. 1을 뺀다.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연산 세 개를 적절히 사용해서 1을 만들려고 한다.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연산을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나의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sys.stdin.readline

n=int(input())
dp=[10000]*(n+1)
dp[n]=0
queue=deque()
queue.append(n)
while queue:
    x = queue.popleft()
    if x==1:
        continue
    if x%3==0 and dp[x//3]>dp[x]+1:
        dp[x//3]=dp[x]+1
        queue.append(x//3)
    if x%2==0 and dp[x//2]>dp[x]+1:
        dp[x//2]=dp[x]+1
        queue.append(x//2)
    if  dp[x-1]>dp[x]+1:
        dp[x-1]=dp[x]+1
        queue.append(x-1)
print(dp[1])

수행시간: 204ms


내 생각

n값을 deque에 넣어서 값을 뽑은다음(x) 각 연산한 값(y)로 한다. 그리고 dp는 n에서 연산을 통해 각 인덱스 값으로 오는 최소 횟수를 가진다.
따라서 dp[y]=dp[x]+1이 되고 y을 queue에 넣어준다. 이때 dp[y]값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그 값이 dp[x]+1보다 크면 값을 바꿔준다.

처음엔 이 풀이가 다이나믹프로그래밍인지 알았는데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니 이게 다이나믹프로그래밍인지 모르겠다. 다른 사람들은 2부터 n까지의 값이 1이 되는 연산의 수를 dp에 저장하였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