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기획 및 리서치 - 3

청산류수·2024년 7월 11일
0

내배캠 UXUI

목록 보기
79/101

리서치 결과 정리

리서치 결과, 어떻게 정리할까?

사용 맥락 관점에서 정리

사용 상황, 장소, 시간 등 복합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상황
모든 제품 사용 경험은 특정 상황과 관련 있어 유저가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 사용상황은 내적 동기로 이어질 수 있다.

장소
어디서 사용했는지. 어느 장소에서 사용하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장소에 대한 유저의 태도가 제품을 사용한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시간
특정 유저 그룹이 특정 사용시간을 공유해 그들의 경험을 반영한다. 사용 시간 때에 따라서 유저들이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지속 시간이 사용자 경험에 척도가 된다.

유저 관점에서 정리

인구 통계학적 특성
나이, 성별, 소득, 거주지, 가구 구성등 이러한 특성이 제품을 이용하는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볼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소비습관, 취미, 사회문화적으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등 이러한 특성이 제품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볼 수 있다.

테스크 수행 능력
기술 수준, 인터페이스에 대한 특성이 제품을 이용하는데 있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볼 수 있다.

유저 경험 관점에서 정리

동기
왜 이 제품을 유저들이 사용하는 지에 대한 이유
왜 이탈하는지
내적 동기와 외적동기를 정리해 볼 수 있다.
내적동기 - 내재적인 욕구, 흥미, 만족으로 인한 동기
외적동기 - 외부적인 보상, 리워드, 제약으로 인한 동기

태도
유저들이 제품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정리할 수 있다.
어떤 것을 기대하는지, 제품 사용 중 발생한 태도 변화를 정리할 수 있다.

니즈
어떤 니즈를 가지고 있는지 다양한 이해관계적 관점에서 정리해 볼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이해하기
카와키타 지로 (KJ기법)

장점
방대한 데이터 사이에서 규칙과 연과성을 발견하고 인사이트 도출
전체적으로 시각화하여 조망

문제를 찾고 유저를 정의하는 단계에서 활용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수행하기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노트
리서치를 통해 발견한 사실, 정보, 인사이트 등을 노트에 한문장으로 정리
중복된 정보나 잘못된 정보는 폐기

그룹핑하고 헤더 이름 붙이기
연관성, 유사성에 따라 그룹핑하면서 헤더에 이름을 붙임
헤더는 사실을 기반으로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있을 수록 좋음

토론을 통해 우선순위 논의
적은 시간적 자원과 인력자원을 대비해서 큰 임펙트를 낼 수 있는 문제를 우선순위 함

단순히 정보를 분류한다가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 핵심
3명이상 참여하는 것을 추천
미리 카테고리를 정해놓고 끼워맞추면 안된다.
계속 수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 논의 TIP
ICE(Impact, Confidence, Ease) Framework

Impact : 성공하면 임팩트가 얼마나 큰가요?
Confidence : 성공할 확신을 얼마나 가지고 있나요?
Ease : 구현하는 데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유저 페르소나 작성

유저 페르소나 이해하기
특정한 유저 타입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유저에 대해 집중해서 분석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와닫는 내용으로 구성해 팀원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작성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유저 페르소나 작성하기
이름, 주요 인적 사항, 니즈, 페인 포인트, 기술 친숙도, 관심있는 브랜드 등
팀원들과 쉽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을지 고려하면서 작성
모든 내용을 전부 담을 필요는 없음

profile
smooth talker -> sumith talk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