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식별자(이름)의 유효범위를 나타내는 개념
① 이름 충돌 방지 : 네임스페이스는 서로 다른 코드 블록이나 모듈에서 동일한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개발자가 식별자 충돌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② 모듈화 : 네임스페이스는 프로그램을 모듈화하고 구조화하는 데 사용. 각 모듈은 자체적인 네임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코드의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
③ 범위 지정 : 네임스페이스는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에 범위를 지정. 이는 코드에서 식별자가 어디에 속하는지 명확히 하여, 코드의 의도를 명확히하고 오류를 방지하는데 도움
④ 프로그램의 전역 범위 제어 : 언어에 따라 전역 네임스페이스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공유되는 변수나 함수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제공
네임스페이스는 코드의 구조화와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이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네임스페이스는 변수, 함수, 구조체, 클래스 등의 동일한 이름의 충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영역으로 특정한 유효범위를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 내부의 여러 라이브러리에 의한 내부 식별자 충돌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