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본 아티클
기획자로서 알아야 하는 MVP 개발 방법론
불확실한 시장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적은 공수로 빠르게 제품을 출시하여 검증하는 방법
요즘IT에서 나온 이야기는 한정된 예산과 리소스를 가지고 확신이 없는 제품을 만드는 것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MVP를 구현하여 시장에 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나도 동의하는 바이지만, 조금 더 첨언하자면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가설을 세운다"는 의미가 더 중요하다. 그 이유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것도 있지만, 우리가 목표로 설정한 타겟층의 성향을 미리 파악하여 세운 가설과 아닌 경우의 받는 피드백은 아예 다르기 때문이다. (이것은 신제품 출시인 경우! 프로덕트 개선의 경우도 비슷할 것으로 생각함)
1. Lean Inception
-> 린 스타트업과 디자인 씽킹을 효과적으로 조합해 실행 가능한 최소 제품을 결정하는 방법
• 1주일 단위의 활동들로 이루어진 협업 워크샵
• 팀이 MVP를 반복적으로 개발해야 할 때 유용
• 워크샵 첫 날부터 팀 관계를 개선
린 인셉션 워크샵의 최종 결과물은 MVP 캔버스로 나타냄. 이 캔버스는 린 스타트업, 디자인 사고 및 비즈니스 방향의 모든 요소들을 탐색해 잘 정렬함으로써 프로세스를 잘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린 스타트업 : 만들다 - 측정하다 - 학습 피드백 루프로, 기능 - 메트릭, 결과로 변환
• 디자인 씽킹 : 사용자 여정으로 변환되는 인간 중심의 사고
• 사업 방향 : MVP 비전, 비용, 일정과 함께 사업 기획을 지원
2. MVP Tree
-> 하나의 고객 그룹을 위해 하나의 작업을 해결해 고객의 삶의 한 부분이 행복하도록 돕는 것. 필요한 것을 해결해야 고객이 제품에 애착이 생긴다.
결국,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초기 스타트업 단계에서 가장 중요
MVP 프로세스는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핵심 가치를 잃지 말고 기획하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https://www.grownbetter.com/article/213
https://brunch.co.kr/@suhyunbae/60
This article gives a clear overview of the key steps involved in launching a successful MVP. Understanding how to develop an MVP is crucial for testing ideas quickly and efficiently while minimizing risks. For more detailed guidance on building a minimum viable product, this resource is very helpful: https://www.cleveroad.com/blog/how-to-build-a-minimum-viable-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