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 개념을 간략하게 공부하고, 두번째로 마주한 문제이다.처음에는 완전탐색을 생각했다. 모든 경우의수를 다 체크하는 것이다.하지만, 완전탐색을 하게 된다면, 순서가 다를 경우, 다른 케이스로 취급된다.예를 들면, 5원을 거슬러주는 경우, {1,2,3}, {1,3,2}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3?language=python3두번째 DP 문제인데, 이전에 거스름돈 문제에 비하면 풀만했다.아직 구현 능력이 부족하여 visualization을

원래 파이썬으로 코테를 준비했는데, 자바로만 보는 곳이 꽤 있어서 자바로 다시 풀어보는 중이다.파이썬에 비해 복잡하고, 이것저것 신경 쓸 것이 너무 많다...자바 싫어..bfs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이고, dfs로도 풀이 가능하다.visit와 que의 경우, soluti

1번 노드로부터 각 노드들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데, 이 때 거리가 최대인 노드들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dfs로도 풀 수 있겠지만, 1과 가장 인접한 노드부터 순차적으로 탐색하는 bfs가 가장 먼저 떠올랐다.graph와 visit는 solution과 bfs에서 모
자바...파이썬으로는 쉽게 풀었던 거 같은데, 동적할당부터 String 배열 처리 등등 생각해야 할 게 너무 많다...자바로 코테 고정시켜놓은 사람 누구ㅇ ㅑ....설명에서 몇번째 줄인지 명시가 필요해 사진도 첨부했다.여기서 포인트는 63번째줄에서 인접한 칸들을 탐색하

bfs나 dfs문제는 무조건 그래프를 그리자.일단 그리고 나면 어떻게 구현할 지 가닥이 잡힌다.문제를 보면 규칙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초기값 즉 0에서 numbers 배열의 특정 요소를 더하거나 빼 나가는 것이다. \+,- 두가지 케이스로 나뉜다. 그리고 numbe

https://level.goorm.io/exam/159545/0%EC%BB%A4%ED%94%8C/quiz/1자바 ... 입출력부터 까다로워 버리기알고리즘을 요구하는 문제는 아니다.BufferedReader 선언 부터 제대로 익혀야겠다.그리고 StringTok

처음에 했던 섣부른 생각.정렬을 한 뒤, 배열의 맨 첫 요소와 맨 마지막 요소의 차를 구해서 D보다 크면 배열의 마지막 원소를 하나씩 처내는 것이었다.그렇게 작성한 코드다.네개의 테스트 케이스에서는 성공했지만, 제출을 누르니 5/10이 떴다.지금 생각해보면 왜 이런 생
BFS는 해도해도 헷갈린다. 그리고 처음에는 최단거리랑 헷갈려서 뻘짓을 좀 했다. 인접한 블록 갯수 세는 것과 최단거리 구하는 걸 같은 방식으로 생각했다. 둘은 다르다는 거 명심하기. 문제 링크다. https://level.goorm.io/exam/195695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8871먼저 callings는 for문을 돌려야 한다.그런데 내부에 중첩된 for문으로 players를 돌릴 경우O(m\*n)이고 -> 최악의 경우 O(

딕셔너리를 사용한 문제이다.다만, 키 : 값 에서 값 부분에 리스트가 들어간다.
큐 문제튜플 형태any() 형태 외우기스택

내 기준 어려운 문제였다.사고가 필요한 문제. 컨셉은 스택을 오름차순으로 쌓아나가는 것이다.prices 배열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서 스택에 값을 추가하는데, 이때 prices값이 스택의 가장 위에 값보다 작다면, 가격이 떨어진 것이니 값을 업데이트 해준다.이 때 whil
heap 사용하는 방법 익히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문제큐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머릿속에 새기기무한대는 float("inf")for문에서 배열 내에 배열 내 요소에 접근하는 법 for a, b, c in road:

이 문제 저번에도 푼 것 같은데, 다시 풀어봤다.다익스트라 문제를 풀고 나니, 둘이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점이 눈에 띈다.이 문제(보통 BFS라 칭한다)의 경우 인접한 노드 간의 거리가 1로 동일하다.하지만 다익스트라의 경우 인접한 노드간의 거리 즉 가중치가 다르다.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문제.다익스트라와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의 차이점.다익스트라 : 특정 노드를 시작점으로 해서 나머지 각 노드와의 최단 거리를 구함플로이드 워셜 : 모든 노드를,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노드와의 최단 거리그림에서 4에서 3으로 가는 화살표

문제 자체 난이도는 낮은데구현에서 막혔다.말 그대로 패턴이기에, 줄줄이 나열하는 게 아니라 규칙을 찾아서 처리해야 한다.규칙이 있다는 건 알아 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떠오르지 않았다.패턴을 배열로 만들고, answer를 for문에 돌리면서 패턴 배열

피로도 문제 DFS로도 풀이 가능하지만 순열(P)로도 풀 수 있다.이번에는 순열을 이용해서 풀어볼 거다.아래 입력의 경우permutations(dungeons)를 하게 되면,\[ \[80,20,50,40,30,10] , \[80,20,30,10,50,40] ,\[50,